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차별 없앤다···장애인 입시 가이드라인 마련

KTV 뉴스중심

차별 없앤다···장애인 입시 가이드라인 마련

등록일 : 2022.02.10

김경호 앵커>
정부가 장애 학생의 대학 입시 특별 전형 가이드라인을 마련했습니다.
장애 대학생의 진로와 취업을 지원하는 권역별 거점 대학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는데요.
어제 열린 사회관계 장관회의 내용, 최영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최영은 기자>
지난해 한 대학교 입시에서 중증 장애 학생을 떨어뜨리기 위해 서류 평가 점수를 조작한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실태 조사 결과, 이 밖에도 일부 장애 유형을 가진 학생만 지원 자격을 부여하게 하는 등 대학 입시에서 장애 학생을 차별한 사례들이 드러났습니다.
정부가 이 같은 입시 차별 등을 막기 위해 장애인 특별 전형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대학의 사회통합전형 운영 의무화와 연계해 선발 인원을 늘리는 등 장애 학생의 고등교육 전반적 접근성을 높인다는 계획입니다.
앞서 정부는 각 대학이 2024학년도 대입부터 전체 모집인원의 10%를 장애 학생으로 모집해야 한다는 내용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대학이 장애 학생 지원을 책임 있게 수행할 수 있도록 장애인 고등교육지원센터 설치 근거를 마련하는 등 현장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유은혜 / 사회부총리
"국민 10명 중 7명 이상이 대학에 진학하는 상황에서, 장애학생을 위한 고등교육 기반을 확충하는 것은 진정한 교육기회의 평등을 달성하기 위해 중요한 과제입니다."

정부는 지역 간 교육격차를 디지털 기술로 완화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합니다.
각 지역의 대학생과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온라인 멘토링 도입을 확대하고, 올해부터 일반대학 온라인 학위 과정을 허용하는 등 학습의 공간적 제약을 없앤다는 계획입니다.
코로나19 상황 속 한시 도입했던 비대면 진료의 제도화 등 지역의 의료 사각지대 문제 해소를 위한 디지털 전환도 추진합니다.
빅데이터 분석으로 응급 의료 서비스를 개선한 등 우수 지자체 사례를 확대하고, 지방의료원 등의 스마트 병원도 확충할 방침입니다.
메타버스 등 신기술을 활용해 지역별 관광콘텐츠를 개발하고, 특히 9월부터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관광 유니버스 구축사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 밖에도 지역별 전통시장 온라인 장보기 등 디지털 기술을 통해 지역별 균형 발전을 추진합니다.
아울러 정부는 디지털 전환의 사각지대가 없도록 올해 상반기까지 인공지능교육 종합계획을 수립해 수요에 맞는 교수인력을 확보하는 등 교육 정책을 내실있게 운영한다는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안은욱 / 영상편집: 진현기)

KTV 최영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