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간 진행된 한미FTA 추가협의가 일단락됐습니다.
정부는 이번에 협의된 내용을 차분히 검토한 뒤에 앞으로의 대응 방침을 정한다는 계획입니다.
유진향 기자>
Q> 이틀 동안의 회의에서 어떤 내용이 오갔습니까?
기자> 네, 주로 미국측의 제안을 확인하는 작업이 이뤄졌습니다.
미국이 새로운 제안을 한 것에 대해 설명하면 우리는 미진한 부분에 대해 질문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는데요.
미국은 이번 추가 제안이 의회에서 다수당을 차지한 민주당의 요청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측에 제안한 내용이 두 나라간 이익 균형을 깨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웬디 커틀러 미국측 수석대표의 말을 직접 들어보시죠.
이번 협의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논의된 부분은 노동과 환경 분얍니다.
미국측은 분쟁이 생겼을 때 기존의 특별분쟁해결절차를 일반분쟁해결절차로 바꾸자는 제안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제안대로라면 분쟁에서 진 나라가 벌금을 승소국에게 납부해야 하고, 특혜 관세를 철폐하는 등의 무역 보복도 가능해집니다.
한편 미국은 앞으로 자동차가 포함될 수 있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추가협의가 노동과 환경을 포함한 7개 분야에 한정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Q> 그런데 미국측은 서명일인 이달 30일 이전에 협의를 마무리 짓겠다는 뜻을 밝혔죠?
기자> 네, 양측은 향후 조치들과 관련해 이틀 동안 교환한 정보를 토대로 각국 정부의 협의를 거치기로 했는데요.
미국은 이번 협의에서 본서명 예정일인 30일 전에 모든 논의를 끝내자는 뜻을 밝혔습니다.
30일은 미국 워싱턴 시간을 말하는 것으로 우리 시각으로는 7월 1일이 됩니다.
하지만 우리측은 여유있게 검토한 후 대응 방침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우리로서는 급할게 없기 때문에 본서명과 관계없이 충분한 시간을 갖고 임한다는 방침입니다.
김종훈 대표의 말을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본서명까지 남은 시간은 일주일입니다.
그 안에 추가적인 협의가 있을지 현재로선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본격적인 추가 논의를 할지 안할지 여부는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