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달 초고속 산불 상황에 맞춘 주민대피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는데요.
개선방안이 실제 현장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초고속 산불을 표준매뉴얼에 반영하고 취약시설 대피계획도 점검하기로 했습니다.
윤현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윤현석 기자>
지난 3월 영남지방을 강타한 초고속 산불.
그동안 접하지 못했던 이례적인 산불 확산 속도로 기존 대피체계의 한계가 드러났습니다.
합리적인 대피방안과 국민 행동 요령의 정비 필요성을 절감한 정부.
지난달 초고속 산불 대비 주민대피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습니다.
녹취> 홍종완 / 행정안전부 사회재난실장 (지난 4월)
"그간 수차례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주민대피체계 개선방안과 지자체 가이드라인, 국민 행동 요령을 마련했습니다."
주민대피체계 개선방안이 발표된 지 한 달이 지난 가운데, 이를 점검하는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회의에서는 개선방안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기관별 후속조치 계획이 논의됐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산림지역과 가까운 요양원 등 대피 취약시설의 위치와 산불 피해 여부, 대피계획 수립 여부를 조사합니다.
또 시설 내부 화재에 중점을 뒀던 기존 사회복지시설 안전점검체계는 대형산불 예방과 대응 분야까지 포함하도록 개선합니다.
산림청은 초고속 산불의 정의와 전개 양상, 국민행동요령 등을 산불재난 표준매뉴얼에 반영하는 작업에 나섭니다.
지자체는 정부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지역 여건에 맞도록 주민대피체계를 개선할 계획입니다.
한편 이번 회의에선 강원 인제군 산불 당시 발화지점 인근 마을과 확산 방향에 있던 시군 주민까지 선제적 대피시킨 양양군을 비롯해, 함지산 산불 당시 노인복지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약자를 시내 의료원 등으로 안전하게 대피시킨 대구시의 사례 등 최근 산불 현장에서 주민을 신속히 대피 시킨 사례도 공유됐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KTV 윤현석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