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G20 정상회의 및 중동 3개국 순방 국민이 만들고 국민이 선택한 KTV 국민영상제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 국정과제 바로가기
본문

KTV 국민방송

소비심리 8년 만에 최고···집값 상승 기대 소폭 하락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소비심리 8년 만에 최고···집값 상승 기대 소폭 하락

등록일 : 2025.11.25 20:00

김경호 앵커>
경제 상황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소비자심리지수가 이달 기준 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한미 관세협상 타결과 3분기 경제성장률이 전망치를 웃돈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김찬규 기자입니다.

김찬규 기자>
한국은행에 따르면 11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12.4를 나타냈습니다.
지난 2017년 11월 이후 8년 만에 가장 높았습니다.
지수가 100을 넘으면 장기 평균보다 낙관적이라는 뜻인데, 최근 1년 새 가장 낮았던 지난해 12월 이후 올해 5월 다시 100을 넘어선 뒤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경기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는 겁니다.
한은은 한미 관세 협상이 타결되고, 3분기 국내총생산 성장률이 전망치를 웃돈 영향으로 분석했습니다.
계엄 사태와 관세 등 불확실성이 하나씩 해소되면서 기저효과로 지수가 많이 올라왔다는 게 한은 설명입니다.
특히 향후경기전망지수가 102로 8포인트 오르며 상승 폭이 가장 컸습니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소폭 하락했습니다.
10·15 대책 이후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 오름세가 둔화한 영향입니다.
하지만 장기 평균을 크게 웃돌아 집값 상승 기대는 여전한 모습입니다.

전화인터뷰> 윤수민 / NH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
"수요자는 조금 규제를 많이 받고 있는 상황에서 그것보다 공급이 더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게 크기 때문에 지표적으로 봤을 때 100 이상으로 유지를 시키는 그런 효과가 나왔다고 보면 될 것 같아요."

한은은 "6·27 대책 시행 이후보다 높은 수준"이라며 "여전히 상승 기대 심리가 높다"고 진단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세원 / 영상그래픽: 민혜정)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6%로 지난달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KTV 김찬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840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