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 국정과제 바로가기
본문

KTV 국민방송

공중보건의 부족···도시 지역도 취약계층 진료소 폐쇄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공중보건의 부족···도시 지역도 취약계층 진료소 폐쇄

등록일 : 2025.11.28 20:09

모지안 앵커>
전국적인 공중보건의 부족으로 농어촌 의료 취약 지역 진료소가 잇따라 문을 닫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이같은 일이 도시 지역에서도 일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강재이 기자입니다.

강재이 기자>
(장소: 대구 곽병원 별관 대구희망진료소)

눈에 잘 띄지 않는 건물 한편.
복도 끝 비품이 쌓인 좁은 공간이 있습니다.
문 앞에는 '대구희망진료소 진료실'이라는 작은 문패만 남아 있습니다.

강재이 기자 jae2e@korea.kr
"이곳은 불과 몇 달 전까지 쪽방 주민과 노숙인들이 매일 드나들던 진료실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진료 장비도 치워지고, 박스만 쌓인 채 방치된 상태입니다."

대구희망진료소는 공중보건의 1명과 간호사 2명이 노숙인과 쪽방촌 주민들을 위해 진료해온 곳입니다.
몇 년간 진료소 단골이었단 주민들을 만났습니다.

인터뷰> 쪽방촌 주민
"우리 같은 사람들에게는 의사 선생님들 계시면 여기서 바로 진료받고, 치과 있는 병원에도 안 가도 되고 훨씬 낫지요."

진료소는 돈 걱정 없이 아픈 사정을 털어놓을 수 있는 공간이었습니다.

인터뷰> 쪽방촌 주민
"공보의 선생님이 이제 맨 처음에 두세 번 보니까. 커피 한 잔 하세요 하고 커피 한 잔씩 하다 보니까 제가 아픈데도 좀 참았던 거, 밑에 있던 거를 내 이야기를 한단 말이에요. 근데 병원 의사 선생님한테 그 얘기를 못 해요. 내가."

하지만 지난 4월, 유일한 공중보건의가 전역하면서 진료가 중단됐습니다.
함께 파견됐던 간호사들도 각자 소속 기관인 노숙인지원센터와 쪽방상담소로 복귀했습니다.
현재는 간단한 처치와 상담만 할 뿐, 의사가 필요한 진료와 처방은 할 수 없습니다.

인터뷰> 박주희 / 대구희망진료소 간호사
"예전에는 병원 오시면 궁금하신 거라든지, 이런 부분을 공보의 선생님하고 상담도 하시고. 병원 가시기 전에 필요한 검사라든지 이런 걸 다 하셨는데, 지금은 그게 안 돼서. 제가 상담해 드리는 건 한계가 있어서."

주민들도 다시 쪽방 골목으로 돌아갔습니다.

강재이 기자 jae2e@korea.kr
"진료소에서 걸어서 5분이면 도착할 수 있는 곳, 쪽방촌입니다. 몸이 아프면 가장 먼저 찾던 진료소가 사라지자, 쪽방 주민들은 다시 홀로 아픈 밤을 견뎌야 합니다."

지난해 월평균 200건 이상이던 방문은 현재 절반 수준으로 줄었습니다.

인터뷰> 쪽방촌 주민
"다쳐도 여기 와가지고, 약 받는 것밖에 없어요. 공보의 선생님이 없으니까. 그런 얘기 해 줄 사람이 없어요. 물어봐도 저분은 이제 간호사 시니까 말을 못 하는 것도 있고 모르시니까."

공중보건의 재배치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현역 복무 선호로 공보의 인력이 줄어든 데다, 대구같은 대도시는 배치 우선순위가 낮습니다.
(영상취재: 이기환 전민영 / 영상편집: 최은석)
결국 도심 취약계층의 진료 공백으로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주희 / 대구희망진료소 간호사
"촉탁의 선생님이 주기적으로 주 2~3회만 오셔서 봐주셔도, 저희가 이제 주민분들 오셔서 상담하시거나, 저희가 재가방문했을 때 응급상황이 생기면 선생님이 와서 처치를 하고..."

대구시는 의사 수급과 재정 문제로 촉탁의 배치는 어렵다며, 기존 사업과 병원 연계를 통해 공백을 줄이겠다는 입장입니다.

전화인터뷰> 강경희 / 대구시 복지정책과장
"시에서는 환자들을 지역 병원으로 연계하는 쪽방·노숙인 의료 돌봄 사업을 운영하고 있고, 정기적으로 활동하는 자원봉사 의사에게 실비를 지원해 의료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서 보완하고 있습니다."

한 명의 공보의 부재로 문을 닫게 된 진료소.
공백을 메우기 위한 조속한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KTV 강재이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