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6자회담 전망 및 한국의 역할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해 말 열린 5차 2단계 6자회담이 기대했던 성과물을 내놓지 못하고 막을 내려 아쉬움을 남겼는데요. 올해도 6자회담이 최대 관심사가 될 전망입니다. 회담 재개 가능성과 중재자로서의 한국 정부의 역할을 전망해보겠습니다.

박준석 기자>

6자회담 재개 여부와 시기는 아직 불투명합니다. 그러나 회담의 가장 큰 걸림돌인 BDA 방코델타아시아에 대한 금융제재 해결 방안을 위해 북한과 미국이 조만간 다시 접촉할 예정입니다. 양측은 지난해 말 실무접촉을 통해 충분히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BDA문제가 실마리를 찾는다면 6자회담은 재개는 물론 내용면에서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한국을 비롯한 관련국들이 여러 방안을 북한에 제안한 상태이기 때문에 6자회담 재개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또 미국과 북한의 속사정도 회담재개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는 대목입니다. 중동문제 해결 실패 책임에 시달리고 있는 미국은 북핵문제 해결을 통해 외교적 성과물을 만들어야 하는 부담을 갖고 있고, 북한 역시 올해가 김정일 국방위원장 당 총비서 취임 10주년으로 외교적인 성과물을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지금까지 6자회담에서 중재자 역할을 충실히 해왔습니다. 지난해 연말 5차2단계 회담을 가능케 한 것도 한미 공조를 통한 포괄적 접근을 내세운 한국정부의 힘으로 평가됩니다.

중재자인 한국의 역할에 따라 6자회담 재개 여부가 판가름 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때문에 한국은 지금까지의 역할에 더욱 충실해야 할 시점에 있습니다. 또 중재자 역할을 충실하게 해나가는 과정에서 6자회담에서의 한국의 입지는 더욱 높아질 수 있습니다.

<취재기자: 박준석>
<영상취재: 김경률>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