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명숙 국무총리는 이번 대책으로 지원을 받게 될 장애아동가구를 직접 찾아 장애인 복지 증진에 대한 정부의 의지를 전했습니다.
장애아동 가족들은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지원이 이뤄질 것이라며 기대했습니다.
기자>
한명숙 총리가 장애인지원 종합대책을 발표한 데 이어 직접 장애아동 가구를 찾았습니다.
정신지체 2급으로 중증 장애를 앓고 있는 이모 군.
이군은 장애를 앓고 있지만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닌 차상위 계층이어서 정부의 장애 수당을 받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내년부터는 달라집니다.
장애아동에 대한 지원이 내년부터는 차상위 계층까지 범위가 확대돼 월 15만원의 장애 수당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이어 서대문 장애인종합복지관으로 자리를 옮긴 한 총리는 장애인 단체와 전문가들과 함께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한 총리는 장애인 가구의 열악한 경제적 현실과 교육 기회가 문제였는데, 이번 정부 정책이 실시되면 많이 개선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장애인이 편하게 이동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취업할 때 차별받지 않도록 하는 것도 이번 정책의 핵심입니다.
장애인 아동을 둔 부모들은 과거와는 크게 달라진 정부의 정책 지원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입니다.
한 총리는 이번 대책이 일회성 발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해야 할 것은 더 보완해 지속적인 장애인 지원대책을 펼쳐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장애인 지원대책에는 약 1조 5천억원의 예산이 투입됩니다.
그러나 장애인들이 비장애인과 더불어 잘 사는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과 함께 국민들의 인식 전환도 함께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