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언론은 한 보고서의 연구결과만 인용해 미세먼지 발생의 주원인이 자동차 배기가스가 아닌 중국에서 오는 오염물질이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밝혔습니다.
이에대해 환경부는 수도권 대기 개선대책 수립 당시 중국 오염물질의 영향은 이미 고려한 사항이기에 신중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기자>
“미세먼지의 입자성분과 오염원 등을 분석한 결과 중국발 오염물질이 미세먼지 오염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서울 신문이 4일 보도한 기사의 요지입니다.
이를 근거로 서울신문은 중국발 오염이 주범임에도 불구하고 경유자동차 규제 등 국내 대책에 초점을 맞춘 대기 정책이 근본적으로 잘못됐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 같은 주장에 대해 환경부는 수도권 대기 개선대책 수립 당시 중국 오염물질의 영향은 이미 고려했다고 해명했습니다.
환경부는 또, 해당 보고서에 경유차에 의한 미세먼지 배출 비율이 1.4%에 불과하다는 내용은 한개 측정소에서 측정한 결과여서 신뢰성 검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환경부는 특히, `중국의 오염물질 유입 등 외부요인은 외교적 절차로 풀어야 할 과제`라며 `경유차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의 경우 발암물질이 함유돼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이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