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임대주택 100만 가구 건설을 비롯해 저소득층 주거 안정을 위해서는 통합 공급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6월 28일 국회에서는 국민임대주택 100만호 건설과 관련해 세미나가 열렸습니다.
1980년 이후 20년 동안 우리나라 주택 수준은 양적, 질적인 면에서 전반적으로 개선됐지만 저소득층의 경우 사정이 다릅니다.
100만 가구는 단칸방에 거주하거나 248만 가구는 제대로 된 화장실도 없이 살아 온 게 현실입니다.
지난 2003년부터 참여정부가 추진하는 국민임대주택 100만 가구 건설 계획에 따라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이 꾸준히 이뤄지고 있지만 실질적인 주거복지 실현을 위해서는 보완이 필요하단 지적입니다.
주택도시연구원 박신영 박사는 국민임대주택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위해서는 정권에 관계 없이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통합 시스템 마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함께 주거복지 실현을 가로막는 국민임대주택 기피 의식도 반드시 극복돼야 할 문제점으로 지적됐습니다.
임대와 일반주택을 혼합 건설하는 `소셜믹스`에 대해 건설교통부는 국내정서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저소득층 주거안정을 위한 국민임대주택 건설의 성공은 지방정부와 지역민의 사회적 합의를 얻어야만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