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국민리포트
-
바다 위 연구실 ‘장영실호’, 해양산업 강국 개척
김담희 앵커>
바다 위 연구실이라 불리는 '장영실호'가 해상과 해저 공사 장비의 시험 평가를 통해 해양 산업 강국의 꿈을 키워가고 있는데요.
울릉도와 남해 일대 해역에서 해양 공사 관련한 각종 장비를 평가하는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김상연 국민기자>
(경남 통영시)
경남 통영 욕지도 앞 바다, 장영실호가 섬과 섬을 잇는 해저 상수도관로 매설 ...
-
청년 우울감 해소 ‘마음건강 앱’ 시범도입
김담희 앵커>
요즘 취업이나 경제적 문제로 힘들어하는 청년이 많은데요.
이런 가운데 청년들이 스스로 마음 건강 상태를 확인해볼 수 있는 앱 서비스가 시범 도입됐습니다.
자세한 내용 소개해드립니다.
박수민 국민기자>
(서울시 동작구)
주말 서울 시내의 한 학원가.
휴일임에도 불구하고 가방을 맨 학생들이 바쁘게 걸어갑니다.
공부에 시달...
-
서울 도보 여행 3곳 신설, 해설사와 함께 걸어요
김담희 앵커>
청와대와 광화문광장 일대가 새 단장을 했는데요.
이들 명소를 해설사와 함께 걸으면서 돌아보는 코스가 새로 생겼는데 시민들의 반응이 좋습니다.그 현장을 전해드립니다.
이충옥 국민기자>
(광화문광장 / 서울시 종로구)
새롭게 선보인 도보 여행길 중 하나는 광화문 코스입니다.
넓어진 광장에 각종 나무와 조형물이 도보 여행에 나선...
-
열린 청와대서 첫 전시, 장애예술인 특별전
김담희 앵커>
활짝 열린 청와대에서 개방 후 첫 전시가 열렸는데요.
장애예술인들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는 특별전이 마련됐습니다.
관람객들의 관심이 뜨거운데요.
자세한 내용 소개해드립니다.
최유경 국민기자>
(청와대 춘추관 / 서울시 종로구)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는 열린 청와대, 춘추관 앞에 긴 줄을 이루고 있는데요.
장애예술인...
-
전통 혁필화로 '가훈 써주기' 시민들 호응
김담희 앵커>
혁필화는 현란한 색채로 즉석에서 글자를 쓰고 그림을 그려 결합한 일종의 전통 민화인데요.
광주에서는 '혁필화' 작가가 시민들을 위한 가훈 써주기에 나섰습니다.
그 현장을 전해드립니다.
최찬규 국민기자>
('ㅇ' 미술관 / 광주시 동구)
도포를 입고 갓을 쓴 작가, 오색찬란한 색깔로 화선지에 글자를 쓰고 그림도 그리는 혁필화를...
-
서울 도보 여행 3곳 신설, 해설사와 함께 걸어요
김민혜 앵커>
청와대, 광화문광장, 창경궁-종묘 일대가 새 단장을 했는데요.
이들 명소를 문화관광 해설사와 함께 걷는 도보여행 코스가 새로 짜여졌는데 시민들의 반응이 좋습니다.
신설 도보 관광 코스 3곳 이충옥 국민기자가 안내합니다.
이충옥 국민기자>
(광화문광장 / 서울시 종로구)
새롭게 선보인 도보 여행길 중 하나는 광화문 코스입니다.
...
-
청년 우울감 해소 ‘마음건강 앱’ 시범도입
김민혜 앵커>
요즘 취업이나 경제적 문제로 힘들어하는 청년이 많은데요.
지난 4년 사이에 우울증과 불안 장애에 시달리는 청년이 두 배 이상 크게 늘었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청년들이 스스로 마음 건강 상태를 확인해볼 수 있는 앱 서비스가 시범 도입됐습니다.
박수민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박수민 국민기자>
(서울시 동작구)
...
-
바다 위 연구실 ‘장영실호’, 해양산업 강국 개척
김민혜 앵커>
바다 위 연구실이라 불리는 '장영실 호'가 해상과 해저 공사 장비의 시험 평가를 통해 해양 산업 강국의 꿈을 키워가고 있는데요.
울릉도와 남해 일대 해역에서 수중 로봇 등 해양 공사와 관련된 각종 장비를 평가하는 현장, 김상연 국민기자가 동행했습니다.
김상연 국민기자>
(경남 통영시)
경남 통영 욕지도 앞 바다, 장영실호가 섬과 ...
-
가족과 함께하는 '바다과학관' 체험 인기
김민혜 앵커>
요즘 전국 곳곳의 박물관이나 과학관이 다양한 체험 공간으로 바뀌고 있는데요.
목포에 있는 바다과학관은 독도 모형 등대 만들기 등 가족이 함께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으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현장에 김남순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김남순 국민기자>
(목포어린이바다과학관 / 전남 목포시)
목포 삼학도에 들어서 있는 어린이바...
-
서울 청년지원 공간, 용산으로 확장 이전
김민혜 앵커>
서울지역 청년들의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이 용산에 새 둥지를 틀었습니다.
기존 시설보다 규모가 10배 이상 큰 다목적 복합공간인데요.
청년들의 심리적, 경제적 어려움을 덜고 진로 설계를 돕게 됩니다.
최윤하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최윤하 국민기자>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 서울시 용산구)
서울 용산구에 들어서 있는 청년 주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