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정상회담, 지금이 적기
이번 남북정상회담 개최와 관련해 일부에서는 시기를 문제 삼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청와대는 여러 상황을 고려했을 때 지금이 적기라면서 여기에는 사심이나 정치적인 계산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강동원 기자>
청와대가 남북정상회담 시기와 관련해 지금이 적기라는 입장을 다시한번 강조했습니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을 통해 지난 1차 남...
-
충분한 의견 수렴
청와대는 제2차 정상회담의 충실한 준비를 위해 개최 이전까지 각계 사회지도층과 전문가들로부터 충분한 의견수렴 과정을 거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강동원 기자>
청와대는 제2차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최대한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김대중 전 대통령의 조언을 구하고, 국회의장과 정당 대표를 초청해 의견을 듣는 방안도 적극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습...
-
한·가봉, `에너지ㆍ인프라 건설` 협력 강화
노무현 대통령과 엘하지 오마르 봉고 온딤바 가봉공화국 대통령은 양국 간 투자 확대와 에너지, 인프라 건설분야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양 정상은 10일 청와대에서 환담과 오찬을 함께 한 자리에서 경제협력 확대과 국제무대에서의 상호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한 뒤이같이 의견을 모았다고 김정섭 청와대 부대변인이 전했습니다.
봉고 대통령은 아프간 피랍사건...
-
청와대 정례 브리핑
10일의 주요 브리핑입니다.
청와대는 정상회담에 대한 과도한 기대도 지나친 비관도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오는 13일경 개성에서 준비접촉 이뤄지면 의제 등에 대한 협의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관련 내용 브리핑으로 들어보시겠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
대변인 정례 브리핑 및 Q & A [2007.08.10]
▲ 대변인 : 8월 10일 청와대 대변인 브리핑을 시작하겠다.
먼저 남북정상회담 관련 사항을 간단히 말씀드리겠다.
오늘 오전 10시에 청와대 내 남북정상회담 준비 T/F 회의가 비서실장 주재로 열렸다. 여러 가지 의제가 다루어졌다. 그 이야기는 여러분들의 질의응답 과정에서 말씀드릴 수 있겠다.
두 번째는 오는 13일 월요일, 아직 구체적으로 최종...
-
정부 노력에 화답
노무현 대통령은 당선 초기부터 남북정상회담 개최에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왔습니다.
7년만에 열리는 이번 회담은 참여정부의 일관된 노력의 성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이해림 기자>
`조건이 맞으면 남북정상회담을 위해 평양을 방문할 수 있다.`
`정상회담 형식에는 어떤 제한도 두지 않을 것이다.`
당선자 시절, 노무현 대통령이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밝힌 내...
-
청와대, `정상회담, 지금이 적기`
이번 남북정상회담 개최와 관련해 일부에서는 시기를 문제삼고 있는데요, 이와 관련해 청와대는 여러 상황을 고려했을 때 지금이 적기라면서 여기에는 사심이나 정치적 계산은 전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강동원 기자>
청와대가 남북정상회담 시기와 관련해 지금이 적기라는 입장을 다시한번 강조했습니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을 통해 지난 1차 남북정상회담...
-
피랍사태 변함없이 노력
남북정상회담 개최로 피랍사태가 뒷전으로 밀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요, 그러나 정부는 정상회담과는 별개로 피랍자들의 석방을 위해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경미 기자>
남북정상회담 개최 발표 이후 일각에서 정부의 피랍자 석방 노력이 다소 약해지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피랍자 석방 노력은 변함없...
-
언론통제 아니다
취재지원선진화 방안과 관련된 작업들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일부 언론은 최근 정부가 마련한 `취재지원 기준안`에 대해 언론통제라면서 반발하고 있는데요, 이는 기준안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오세중 기자>
지난 7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가 취재지원에 관한 기준안을 보도지침으로 규정하며 철회를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습니...
-
정상회담 엠바고 파기 유감
청와대는 남북정상회담과 관련해 엠바고, 즉 보도유예를 파기한 일부 언론사에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청와대는 `남북이 동시 발표하기로 했음에도 우리 측에서 먼저 보도돼 자칫 정상회담 추진에 부정적 효과를 줄 수 있는 만큼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남북은 남북정상회담 개최 발표 시점을 8일 오전 10시로 합의한 뒤 청와대는 기자들에게 엠바고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