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국제평화포럼, `평화적 해결` 한목소리
북한 핵 문제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참석자들은 다소간 이견을 보이기도 했지만 평화적이고 외교적인 해법을 찾자는 데는 의견을 같이 했습니다.
기자>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한 원인을 두고, 미국의 일방주의 외교 때문이라는 의견과 정부의 포용정책 때문이라는 의견이 대립하면서 이른바 `핵실험 책임 공방`이 뜨겁습...
-
개성공단 입주업체 경영진 개성 방문
개성공단 입주업체의 경영진들이 20일 개성을 방문해 대북사업의 당위성과 안전성에 대한 홍보에 나섰습니다.
개성공단 기업협의회 김기문 회장을 비롯한 입주업체 대표 10여명은 20일 오전 8시 도라산 남측세관을 통과해 개성으로 올라갔으며 19일 입북한 타사 경영진들과 함께 1박을 하면서 북한 핵사태에 따른 대비책 등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김기문 회장은 20...
-
“北, 국제사회 입장 엄중히 받아들여야”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은 19일 밤 약 6년만에 3국 외교장관 회동을 갖고 북한이 국제사회의 엄중한 입장을 받아 들여 추가적인 상황악화 조치를 취하지 말고 6자 회담에 복귀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과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 아소 다로 일본 외상은 19일 저녁 서울 한남동 외교장관 공관에서 가진 3자 회동에서 이와 같은 대북 메시...
-
`북한 핵물질 제3자 이전 방지 중요`
한미 외교 장관이 회담을 갖고 북한의 핵 실험에 따른 제재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양국은 북에 대한 제재를 실행하는 데 있어 긴장이 고조돼서는 안되며 미국의 한국에 대한 방위 공약은 확고하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기자>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과 라이스 미 국무부 장관이 나란히 공동기자회견장으로 들어섭니다.
라이스 장관의 청와대 예방이 다소 늦어짐...
-
유엔결의 이행 공조 확인
양국 장관은 19일 회담에서 유엔 안보리 결의안의 이행에 있어서 긴밀한 상호 공조를 재확인했습니다.
기자>
이번 한미 외교장관 회담은 UN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 이후 구체적인 이행 방안에서 이견을 보이던 한미 양국이 공조를 재확인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습니다.
외교장관 회담 이후 이어진 기자회견에서 반기문 장관은 한미 양국이 유엔 안보리의...
-
‘평화적 해결’ 한목소리
북한 핵 문제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참석자들은 다소간 이견을 보이기도 했지만 평화적이고 외교적인 해법을 찾자는 데는 의견을 같이 했습니다.
20일 오전 열린 `국제평화 포럼`이 열렸습니다.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한 원인을 두고, 미국의 일방주의 외교 때문이라는 의견과 정부의 포용정책 때문이라는 의견이 대...
-
미 백악관, `북한 굴복 원치않아`
미국 정부는 북한에게 굴복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며 그들에게 경제와 안보면에서 보나 나은 기회를 제공하길 원하고 있다고 백악관이 밝혔습니다.
토니 스노 백악관 대변인은 현지시간으로 19일 미국은 북한이 굴복하길 원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들에게 보다 나은 경제와 안전, 인근과의 관계개선, 세계경제로의 편입 등 아주 좋은 `거래`를 제공하려 노력하고 있음을 ...
-
한덕수, `한미 FTA 북핵으로 서두르지 않을것`
한덕수 한미 FTA 체결지원위원회 위원장은 20일 한미 FTA는 경제적 베이스의 협상이기 때문에 북핵문제 등 정치적 이유로 서두르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습니다.
한덕수 위원장은 20일 대전 시청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북핵문제로 그동안 쟁점이 된 사안들이 불리하게 일괄 타결될 수 있다는 일부 우려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 이같이 말하고 다만 한미 F...
-
UN 대북제재 채택과 이후 전망
북한의 핵실험 이후 유엔안보리가 본격적으로 대북제재안을 결의했습니다. 대북제재이후 북한의 행방과 세계의 질서는 어떻게 될 것인지 진단해봅니다.
이 밖의 다양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
대북제제 결의 이후 3국 공조체제 논의
19일 저녁에는 한·미·일 3국 외교장관 회담이 열립니다. 이 자리에서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 이후 세 나라간의 대책이 집중 협의될 전망입니다.
기자>
핵실험을 강행한 북한에 대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이 채택된 이후 한.미.일 3국 외교장관이 서울에서 만납니다.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은 지난해 9월 6자 협의 공동성명에 합의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