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캐나다 언론, `북·중 접경지대 무역 정상`
지난 9일 북한의 핵실험 발표 이후 취해진 유엔의 제재조치에도 불구하고 중국에서 북한으로 흘러들어가는 물자는 이전과 변함이 없다고 캐나다 일간 글로브 앤 메일이 보도했습니다.
글로브 앤 메일은 1면에 관련사진과 함께 게재한 중국 단둥 지역 르포 기사를 통해 중국과 북한 접경지역에는 유엔의 제재조치가 아무런 효과가 없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신문은 또 특파...
-
중국의 대북정책, 향후 전망은?
북핵과 6자회담을 둘러싼 미국과 북한의 줄다리기가 팽팽합니다. 북한이 원하는대로 6자회담 속 북미회담이 가능하게 될지, 아니면 미국 측이 뭔가 또 다른 요구를 북에 하게 될지 국제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어쨌든 대화의 기미가 조금씩 보이고 있는 지금, 모쪼록 북핵해법의 실마리를 더 늦기 전에 찾았으면 좋겠습니다.
-
안보리 제재위, 대북 제재대상 잠정 합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위원회는 결의 1718호에 따른 대북 제재대상에 잠정합의했습니다.
잠정 합의된 제재대상은 대량살상무기 수출통제체제가 규정한 품목으로 제제대상 단체나 개인은 포함되지 않았으며 논란이 됐던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문제도 거론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제재위는 논의 내용과 합의된 기본원칙에 근거해 의장인 슬로바키아 대사가...
-
안보리 제재위, 대북 제재대상 잠정 합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위원회는 결의 1718호에 따른 대북 제재대상에 잠정합의했습니다.
잠정합의된 제재대상은 대량살상무기 수출통제체제가 규정한 품목으로 제제대상 단체나 개인은 포함되지 않았으며 논란이 됐던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문제도 거론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제재위는 논의 내용과 합의된 기본원칙에 근거해 의장인 슬로바키아 대사가 ...
-
UN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 이행방안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안에 따른 우리 정부의 이행 방안 윤곽이 공개됐습니다. 안보리 제재위원회가 지정한 북한 인사나 단체의 국내 출입을 금지하고 이들과의 대금 결제나 송금 등도 통제하기로 했습니다.
기자>
정부는 유엔 안보리 제재 위원회가 북한의 개인이나 단체를 제재 대상으로 지정하면 북한인사의 국내 출입과 체류를 금지하기로 했습니다.
제재 ...
-
통일부 “북한, 6자회담 즉각 복귀해야”
남한이 미국의 대북 제재에 가담하면, 해당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조평통의 담화에 대해, 통일부는 북한이 즉각 6자 회담에 복귀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통일부는 26일 대변인 논평을 내고, 북한이 민족의 장래를 생각하면 상황을 더 이상 악화시키지 말고 6자 회담에 즉각 복귀해 9·19 공동 성명을 이행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논평 내용을...
-
대북 제재 금강산·개성사업은 제외
북한에 대한 제재 방안을 논의해 온 유엔 안정보장이사회 제재위원회가 제재대상과 품목을 잠정 합의했습니다.
금강산 관광과 개성 공단사업은 대상에서 제외 됐습니다.
기자>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위원회가 2번의 회의 만에 북한에 대한 제재 대상을 잠정 합의했습니다.
제재안은 우선 북한의 주요 외화벌이 수단인 미사일 수출을 사실상 봉쇄하기로 했습니다.
...
-
제38차 SCM, 이후 한반도 안보는?
북한의 핵실험 강행으로 한반도의 안보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20일 미국 워싱턴에서는 제38차 한미연례안보협의회가 열렸습니다.
이후 한미 군사동맹은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되며 한반도의 안보상황은 어떻게 될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그 밖의 외신관련 소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유엔제재 북한 인사 국내 출입금지하기로
정부는 유엔 안보리 제재위원회가 제재 대상 북한 개인이나 단체를 지정하면 이들에 대한 국내 출입 및 체류를 금지하고 이들과의 남북 교역.투자 관련 대금 결제나 송금 등을 통제하기로 했습니다.
이종석 통일부 장관은 26일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의 통일부 국정감사에서 이런 내용의 유엔안보리 결의이행을 위한 정부의 조치를 마련 중이라고 보...
-
통일부 “북한, 6자회담 즉각 복귀해야”
남한이 미국의 대북 제재에 가담하면, 해당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조평통의 담화에 대해, 통일부는 북한이 즉각 6자 회담에 복귀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통일부는 26일 대변인 논평을 내고, 북한이 민족의 장래를 생각하면 상황을 더 이상 악화시키지 말고 6자 회담에 즉각 복귀해 9·19 공동 성명을 이행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논평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