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PSI, 무엇이 쟁점인가?
북한의 핵실험 이후 최근 PSI 즉, 대량살상무기확산방지구상이 또 하나의 쟁점이 되고 있습니다.
기자>
PSI 즉 대량살상무기확산방지구상의 출발은 2003년 6월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클린턴 정부는 테러와 대량살상무기의 국제적 확산을 막겠다는 목적으로 추진해온 전략을 국제적으로 발전시켜 PSI를 탄생시켰습니다.
이 구상에 따르면 참여국은 핵이나...
-
북핵실험 2차 통보 사실무관
북한의 핵실험에 따른 대북제재 이행을 위해 관련국들이 논의에 들어갔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이 중국에 2차 핵실험을 실시하겠다는 통보를 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습니다.
Q> 북한이 2차 핵실험을 하겠다고 통보했다는 내용이 나오고 있는데, 사실인가요?
A> 결론적으로 말하면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핵실험이 주변국들에게 얼마나 민...
-
`대북 식량지원 보유량 내년 1월이면 동 나`
마이클 허긴스 세계식량계획 WFP 대변인은 대북 식량 원조국의 지원이 줄어들어 내년 1월이면 WFP의 보유 식량이 완전히 동이 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지난 주 북한을 방문했던 허긴스 대변인은 현지시간으로 17일 자유아시아방송과의 전화인터뷰에서 북한의 가장 취약한 계층 100만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식량지원활동이 회원국들로부터 재정지원이 충분히 확보...
-
`대북 경협은 우리가 결정할 문제`
대북 제재와 관련해 금강산 관광 사업 등 남북 경협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금강산 관광의 지속 여부 등은 전적으로 우리 정부가 판단할 것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기자>
금강산 관광 사업 등 남북 경제협력 사업이 한미간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규형 외교통상부 제2차관은 내외신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이 남북 경협에 부정적 입장이라는 견...
-
`대북 식량지원 보유량 내년 1월이면 동나`
마이클 허긴스 세계식량계획,WFP 대변인은 대북 식량 원조국의 지원이 줄어들어 내년 1월이면 WFP의 보유 식량이 완전히 동이 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지난 주 북한을 방문했던 허긴스 대변인은 북한의 가장 취약한 계층 100만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식량지원활동이 회원국들로부터 재정지원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내년 초 중단될 위기에 놓일 것으로 내다봤...
-
“라이스, 한국과 PSI 구상 대화할 것”
북한 핵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한국과 미국, 러시아 3국 6자회담 수석대표가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이 자리에서 미국의 힐 차관보는 19일, 라이스 국무장관이 한국을 방문해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 구상에 대해 우리 측과 대화를 나눌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기자>
`라이스 국무장관이 한국을 방문해 PSI 즉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 구상에 대해 대화할 것이다...
-
중·일·러, 대북제재 본격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안이 채택된 뒤 일본과 중국 등 관련국들이 본격적인 행동에 나섰습니다.
수출을 중단하거나 화물을 검색하는 등 북한에 대한 구체적인 압박이 시작됐습니다.
기자>
북한의 주변국 가운데 가장 강경한 대북제재에 나선 나라는 일본입니다.
일본은 미국의 북한 선박과 항공기 검색에 협조하는 등의 대북제재의 구체적인 시행 방안...
-
北 핵실험, 국제정세 진단 - 조성렬 국제문제조사연구소 기획실장
지난 10월 9일 북한의 핵실험 성공 발표로 국제사회가 긴박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유엔 안보리는 지난 14일 북한의 핵실험을 국제사회에 대한 위협으로 규정, 군사조치 가능성은 배제하되 강력한 경제적, 외교적 제재를 가하는 대북제재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고 우리 정부 또한 국내외적으로 충분한 의견교환을 거쳐 신중한 대처를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국...
-
강지원의 정책데이트 - 북핵문제, 그 해법은...
북한 핵실험 문제를 다뤄보겠습니다. 우리 정부는 과연 이 상황에서 어떠한 정책을 펴나가야할지, 문정인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와 함께 얘기나눠보겠습니다.
-
핫이슈 리포트
북한은 핵보유국의 지위를 얻어 미국과 대등한 지위에서 협상하겠다.
이런 의도로 오랜 기간 핵 보유국 지위를 얻기 위해 골몰해왔습니다.
그런 북한의 이번 핵실험으로 지난해 6개국이 합의한 9,19 공동성명은 완전히 사문화 됐고 북핵 6자회담도 자연히 소멸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북한에 대한 유엔 안보리 결의안이 채택되자 환영과 지지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