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사회
-
'염증완화에 도움' 화장품 부당광고 83건 적발
김유영 앵커>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의학적 효과 등을 내세우는 화장품 온라인 판매게시물을 점검한 결과 83건을 적발했다고 밝혔습니다.소염작용, 염증완화 등의 광고문구를 실어 화장품을 의약품으로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광고가 64%로 가장 많았고, 화장품 범위를 벗어나는 광고가 뒤를 이었습니다.식약처는 부당광고 83건을 차단 조치하고, 적발된 책임판매업체 35곳...
-
오늘의 주요 정책소식 (25. 08. 06. 13시)
오늘의 주요 정책소식입니다.1. 전국에 강한 비…경기·강원 최대 150㎜ 물폭탄전국 대부분 지역에 강하고 많은 비가 예보됐습니다. 산사태나 침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2. '성장전략 TF' 첫 회의…기업 활력 제고이재명 정부 첫 '성장전략 TF 회의'가 열렸습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현장 의견을 경청하고, 공론화하는 플랫폼으로 ...
-
국정기획위원회 브리핑 - 관광 규제 합리화 방안
국정기획위원회 브리핑 - 관광 규제 합리화 방안오기형 / 국정기획위 규제합리와TF 팀장 (오늘 오전 10시 발표)(장소: 국정기획위원회 브리핑룸)
-
전국에 강한 비···산사태·침수피해 대비
김용민 앵커>전국 대부분 지역에 강하고 많은 비가 예보됐습니다.철원에는 호우경보가, 경기 북부와 강원, 인천 일부 지역에는 호우 예비특보가 내려졌는데요.김현지 앵커>산사태나 침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윤현석 기자의 보도입니다.윤현석 기자>기상청은 오늘(6일) 오전 비구름이 중부지방을 지나 남부지방으로 내려가며 강한 비를 뿌릴 ...
-
산업장관 "에너지 공기업 중대재해에 최고 제재"
김용민 앵커>최근 산업현장에서 인명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김현지 앵커>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에너지 공기업에서 중대재해 발생 시 중대재해처벌법과는 별개로, 해당 기업에 산업부 차원의 최고 수위 제재를 하겠다고 밝혔습니다.조태영 기자입니다.조태영 기자>지난 6월 2일 태안화력발전소에서 한전KPS 하청 직원이 기계에 끼여 사망했습니다.이후 두 달도 ...
-
국정위 "이 대통령 임기 내 세종 집무실 건립"
김용민 앵커>국정기획위원회가 '대통령 세종 집무실' 건립을 신속 추진 과제로 선정했습니다.김현지 앵커>이재명 대통령 임기 내 집무실을 건립하기 위해서인데요."세종 집무실 건립은 행정수도 완성의 첫 단추"라고 강조했습니다.보도에 김찬규 기자입니다.김찬규 기자>국정기획위원회가 이재명 대통령 임기 내 '대통령 세종 집무실' 건립을 신속 추진 과제로 선정했습니다....
-
바이오헬스 혁신위···"R&D 투자·규제 개선"
김용민 앵커>새 정부의 첫 바이오헬스 혁신위원회가 어제(5일) 오후 열렸습니다.김현지 앵커>6개 핵심 규제개혁 과제의 추가 개선 방안 등이 논의됐는데요, 자세한 내용 정유림 기자가 보도합니다.정유림 기자>제7차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장소: 5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여 앉은 범부처 정부위원과 민간위원들.회의를 주재한 ...
-
오늘의 날씨 (25. 08. 06. 10시)
신세미 앵커>오늘 튼튼한 우산을 챙기셔야겠는데요.중부지방을 중심으로 폭우가 예보됐습니다.현재, 비구름이 북쪽에서 내려오면서 수도권과 강원지역은 비가 시작됐고요.비는 점차 전국으로 비가 확대되겠습니다.지역별로 호우가 집중되는 시점이 중요할텐데요.수도권과 강원도는 오늘 오전부터 오후사이에, 충청은 오후부터 밤사이에, 남부지방은 오늘 밤부터 내일 새벽사이에 강한...
-
반복되는 '산재사고'와의 전쟁, 범정부 대책은?
김용민 앵커>최근 포스코이앤씨에서 또 산재가 발생했습니다.대표이사가 결국 사의를 표했는데요, 반복해서 발생하는 산재사고를 근절하기 위해 정부가 강력 대응에 나섰습니다.산재 전담수사팀을 신설하고, 중대재해가 발생한 기업은 금융권 대출에도 일정한 불이익을 주기로 했습니다.김현지 앵커>대통령실은 8월 15일 광복절에 개최하는 국민임명식에 전임 대통령과 그 배우자...
-
전자담배 유해성 논란 진실과 규제 정책은?
김용민 앵커>한 보고서에 따르면 1988년 66%에 육박하던 성인 남성의 연초 흡연율이 2021년 21%까지 감소한 반면, 전자담배는 지난 10여 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는데요.김현지 앵커>이렇게 전자담배 판매량이 급속히 증가하면서 전자담배 유해성 논란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데요.과연 그 진실은 무엇인지, 보건복지부 건강증진과 정혜은 과장과 이야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