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저출산 문제가 우리 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면서 지방자치단체들도 출산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팔을 걷어부쳤습니다.
지자체들이 주민들의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내놓은 다양한 지원책을 정리했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세계최저 수준인 1.08명.
이 정도라면 가히 `저출산 재앙`으로 불릴 만합니다.
정부가 이 같은 저출산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 중인 가운데 각 지역의 지방자치단체들도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지역 주민에게 가장 반가운 소식이 될만한 지원책은 출산율 하락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인 육아비를 지원하는 것입니다.
전라남도 보성군과 강진군, 경상북도 안동군은 첫째 아이출산시 월 20만원 둘째 아이는 월 30만원 셋째 아이 이상은 월 50만원을 1년간 지급합니다.
경기도 옹진군 등 23곳은 둘째 아이 이상부터 최대 100만원의 출산비를 지원하고, 충청북도 영동군 등 57곳은 셋째 아이 이상부터는 최대 300만원까지를 일시금으로 산모에게 전달합니다.
경기도 연천군 등 5곳은 아이가 5살이 될 때까지 신생아 보험료를 납부해 줍니다.
이처럼 금전적인 도움을 주는 곳 외에 사람을 보내 산모를 도와주는 지자체도 있습니다.
대전시는 셋째 아이 이상을 출산하면 30일간 산후 도우미를 파견하고, 농사일로 바쁜 여성 농업인의 출산을 돕기 위해 충주시 등 25곳은 농가 도우미를 지원합니다.
이밖에도 모유수유와 아기마사지, 태교교실 등 다양한 부문에 대한 출산 지원책들이 눈길을 끕니다.
정부는 집값과 사교육비 등 보다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오는 6월 초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발표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