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지자체 출산 장려에 안간힘
최근 저출산 문제가 우리 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면서 지방자치단체들도 출산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팔을 걷어부쳤습니다.

지자체들이 주민들의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내놓은 다양한 지원책을 정리했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세계최저 수준인 1.08명.

이 정도라면 가히 `저출산 재앙`으로 불릴 만합니다.

정부가 이 같은 저출산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 중인 가운데 각 지역의 지방자치단체들도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지역 주민에게 가장 반가운 소식이 될만한 지원책은 출산율 하락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인 육아비를 지원하는 것입니다.

전라남도 보성군과 강진군, 경상북도 안동군은 첫째 아이출산시 월 20만원 둘째 아이는 월 30만원 셋째 아이 이상은 월 50만원을 1년간 지급합니다.

경기도 옹진군 등 23곳은 둘째 아이 이상부터 최대 100만원의 출산비를 지원하고, 충청북도 영동군 등 57곳은 셋째 아이 이상부터는 최대 300만원까지를 일시금으로 산모에게 전달합니다.

경기도 연천군 등 5곳은 아이가 5살이 될 때까지 신생아 보험료를 납부해 줍니다.

이처럼 금전적인 도움을 주는 곳 외에 사람을 보내 산모를 도와주는 지자체도 있습니다.

대전시는 셋째 아이 이상을 출산하면 30일간 산후 도우미를 파견하고, 농사일로 바쁜 여성 농업인의 출산을 돕기 위해 충주시 등 25곳은 농가 도우미를 지원합니다.

이밖에도 모유수유와 아기마사지, 태교교실 등 다양한 부문에 대한 출산 지원책들이 눈길을 끕니다.

정부는 집값과 사교육비 등 보다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오는 6월 초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발표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