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우리나라의 네 번째 FTA 추진국인 동남아국가연합 아세안과의 FTA 협정이 최종 타결됐습니다. 이로써 중국, 일본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경쟁력 우위에 설 수 있는 일대 전기를 마련하게 됐습니다.

동남아 국가연합 아세안과의 FTA 무역 협정이 최종 타결됐습니다. 지난해 2월 협상을 개시한 지 1년 3개월 만입니다.

이로서 우리는 모두 15개 국가와 FTA 협정을 체결하게 됩니다.

이번 협상 타결로 우리는 인구 5억의 거대 경제권인 아세안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하게 됐습니다.

아세안은 수출 규모가 일본보다 큰 한국의 4대 수출대상국입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한-아세안 FTA 체결로 아세안 지역에 대한 수출이 100억 달러 증가하고, 무역 흑자도 60억 달러가 늘어 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또 동남아 시장을 놓고 격전을 벌이고 있는 일본. 중국과의 경쟁에서도 우위를 차지할 일대 전기를 맞이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일본 자동차 업계에 맞서 우리의 자동차 수출의 활로를 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당초 아세안과의 FTA 협상에서 가장 우려되는 부분이 농수산물 개방 문제였습니다.

하지만 우리측은 공산품에 대한 실익은 물론, 농수산물의 적극적인 방어에도 성공했습니다.

이번 협상 타결의 또 하나의 성과입니다.

개성 공단에서 생산한 제품을 한국산으로 인정해 원칙적으로 특혜 관세를 부여하게 했습니다.

정부는 이번 한-아세안 FTA협정에 관련된 모든 참가국의 공식서명이 끝나는 대로 국회 비준동의 절차를 거친 뒤 빠른 시일내에 발효시켜, 우리 기업의 동남아시장 진출을 지원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