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1.25%로 5개월째 동결했습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 등으로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졌다면서, 금융안정에 각별히 유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용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한국은행이 이주열 총재 주재로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1.25%로 동결했습니다.
지난 6월 이후 5개월 연속 같은 수준입니다.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졌고, 미국 금리 인상 전망과 국내 가계부채 부담 등이 작용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주열 / 한국은행 총재
"대내외 여건의 높은 불확실성과 그 영향, 미 연준의 통화정책 변화, 국내 가계부채 증가세 등을 면밀히 점검해 나가겠습니다."
현재 가계 신용 잔액은 천 3백조 원에 육박합니다.
금융당국의 심사기준 강화 등 각종 규제가 시행되고 있지만, 가계 대출은 여전히 증가하고 있어 지난달 금통위원들의 우려가 컸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와 함께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통화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진 것도 한은의 금리 동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한편 정부는 오늘 최상목 기재부 1차관 주재로 확대거시경제금융회의 겸 합동점검반 T/F 회의를 열었습니다.
참석자들은 미국 대선 이후 국내외 경제 금융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했습니다.
합동점검반 TF는 지난 9일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기재부 1차관 주재로 격상된 바 있습니다.
참석자들은 미 대선 이후 금융시장이 일시적인 충격에서 벗어나 예상보다 빠르게 안정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하지만 미국 정책기조 변화 등에 따라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필요한 경우 시장 안정 조치를 신속하게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이와 함께 트럼프의 공약을 분석해 시나리오별 대응방안을 구체화해 나갈 방침입니다.
KTV 김용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