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화 앵커>
의료계의 집단휴진이 계속되는 가운데, 정부는 정부와 국회, 의료계 선배들의 약속을 믿고, 진료현장에 돌아와 줄 것을 거듭 촉구했습니다.
또 국회와 의료계의 논의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며, 합의되는 부분은 존중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임하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임하경 기자>
코로나19 확산 위기로 정부는 조건 없이 의대 정원 확대 정책 추진을 중단했습니다.
의료계 집단휴진 상황을 고려해 의사 국가시험도 1주일 연기했습니다.
하지만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다시 한 번 의료단체에 조속히 진료 현장에 복귀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녹취> 정세균 국무총리
"업무복귀가 늦어질수록 고통 받는 환자들만 늘어날 것입니다. 전공의들은 정부와 국회, 의료계 선배들의 약속을 믿고 환자들 곁으로 조속히 돌아와 주실 것을 촉구합니다."
그동안 정부와 국회, 의료계 선배들은 양보안 등을 제시하면서 문제해결을 위해 애써왔습니다.
전공의들이 지난달 21일 집단 휴진을 시작하자 정세균 총리는 이틀 뒤 전공의들을 직접 만나 진정성 있는 논의를 시작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어 대한의사협회와도 만나 합의안 마련을 위한 실무협의에 착수하기로 했습니다.
그래도 의료계가 집단행동을 멈추지 않자 국회가 나섰습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이 전공의들과 만나 국회 내 협의기구를 만들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논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병원 협의회 등 의료계 주요 단체들도 정부의 의료정책을 의-정 협의체에서 원점부터 논의하겠다는데 잠정 합의하기도 했습니다.
이같은 노력에도 의료계가 집단행동을 멈추지 않자 정부는 답답함과 안타까움을 나타냈습니다.
녹취> 김강립 / 보건복지부 차관
"병원장, 교수 등 범의료계 원로들과도 광범위한 소통을 하였고 이분들도 정부의 합의내용 이행을 관리하겠다고 하신 바 있습니다. 이에 더해 민주당과 통합당 등 국회도 의료계와 함께 여야정 협의체를 구성하여 충분히 협의하겠다고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정부는 현재 국회와 의료계의 논의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양측간에 합의되는 부분은 존중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히면서 원만한 결과가 있길 기대했습니다.
(영상취재: 안은욱 / 영상편집: 김종석)
이런 가운데 의사협회와 전공의, 전임의 등은 내일(3일) 회의를 열어 앞으로의 대응방향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KTV 임하경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