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와 같은 보건안보 위기가 생기면 얼마나 빠르게 백신과 치료제를 투입하는지가 대응의 관건인데요.
송나영 앵커>
정부가 보건안보 위기때 100일 이내에 백신과 치료제 투입이 이뤄지도록 하는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이혜진 기자입니다.
이혜진 기자>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이 한창이던 지난 2021년 상반기.
백신이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란 기대가 컸지만, 한때 물량이 부족해 접종 간격이 조정되고 예약 경쟁도 겪어야 했습니다.
그로부터 2년, 정부가 지난 코로나19의 경험을 토대로 미래 감염병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중장기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핵심은 감염병 대유행 등 보건안보 위기가 발생하면 100일 안에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입니다.
보건복지부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이런 내용의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 기본계획을 확정했습니다.
녹취> 이우일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이번) 논의를 통해서 분야별 중장기 대책 방향성이 잘 설정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오는 2027년까지 5년간 추진할 이번 계획에는 이런 목표를 위해 백신 개발 우선순위 대상을 선정하고 면역감시체계도 구축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국외에서 유입되는 감염병이나 호흡기 바이러스를 신속 진단하는 키트 제작기술도 개발합니다.
필수의약품이 환자에게 안정적으로 제공되도록 전달체계도 고도화하기로 했습니다.
심뇌혈관 질환과 응급환자 치료 등 필수의료 분야 투자도 확대합니다.
2021년 기준 심뇌혈관 질환 사망자는 인구 10만 명당 121.5명.
암에 이어 한국인의 사망 원인 2위입니다.
(자료 제공: 통계청, 2021년)
보건복지부는 이런 심뇌혈관 질환 발생 원인 관련 연구를 늘리고, 후유장애를 최소화하는 기술개발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응급수술을 하거나 집중치료실로 입원 조치해야 할지를 예측하는 응급임상의사결정 인공지능(AI)시스템도 개발합니다.
재난 발생 시 의료기관 접근성이 떨어지는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이동형 병원 플랫폼 기술 연구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이와 함께 난임과 암, 치매 등을 조기 진단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뒷받침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한기원 / 영상편집: 김종석 / 영상그래픽: 지승윤)
KTV 이혜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