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과 자동차부품 관세 대상을 확대하려는 중입니다.
정부는 민관 합동 대책회의를 열고, 기업의 반박 의견서 작성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조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조태영 기자>
미국은 지난 8월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 407개 품목을 새로운 관세 부과 대상으로 지정했습니다.
현재는 2차 절차를 통해 품목 추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자국 기업 신청을 받아 신규 관세 대상을 정하는 겁니다.
또한 미 정부는 다음 달 1일부터 자동차부품 관세 확대 절차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미국의 관세 조치는 우리 기업 수출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중소기업 타격이 클 것으로 전망됩니다.
전화인터뷰> 이정환 /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교수
"아무래도 이제 중소기업은 피해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인 건 맞고요. 대기업은 공장을 이전하고 새로운 공급망을 구축하겠지만, 기존에 한국 기반의 중소기업들은 이제 좀 어려울 수도 있는..."
산업통상자원부는 민관 합동 대책회의를 열었습니다.
회의에서는 미국 기업 신청서에 대응해 반박 의견서를 제출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됐습니다.
산업부는 우리 기업뿐 아니라 미국 지사나 바이어 명의로도 의견서를 제출할 수 있다며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습니다.
그러면서 대한상공회의소가 운영하는 '중소·중견기업 수입규제 컨설팅 사업'을 활용해 의견서 작성을 무료로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찾아가는 수입규제 컨설팅'도 지속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방 산업단지를 직접 찾아가 통관 등 실무 중심의 무료 컨설팅을 제공하는 정책입니다.
(영상편집: 정성헌 / 영상그래픽: 강은희)
아울러 산업부는 미 관세 정책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민관 정례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전달할 계획입니다.
KTV 조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