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5년 APEC 정상회의 배너 닫기
이재명 대통령 UN총회 참석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 국정과제 바로가기
본문

KTV 국민방송

노인 일자리 진화 거듭···"맞춤형 대책 강구해야"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노인 일자리 진화 거듭···"맞춤형 대책 강구해야"

등록일 : 2025.09.26 20:02

모지안 앵커>
이번 한 주는 노인일자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기 위한 '노인일자리 주간'입니다.
단순 노동에 머물렀던 노인일자리 사업이 최근에는 사회적 가치를 담은 의미 있는 일자리로 탈바꿈하고 있는데요, 정유림 기자의 보도입니다.

정유림 기자>
(장소: 광희문경로당(서울시 중구))

동화책에 점자 스티커를 부착하는 손길이 분주합니다.
점자 동화책을 제작하는 이들의 평균 연령은 71세, 최고령 나이는 82세입니다.

인터뷰> 남정아 / 시니어 점자 도우미·72세
"지금 점자로 동화책도 만들었고 또 메뉴판으로 해서 카페 메뉴판, 음식점 메뉴판 그 외에 이제 여러 가지 메뉴판을 계속 저희가 개발하고, 또 생활에 필요한 것들 라벨을 다 붙여주는 그런 작업들을..."

일을 통해 사회와 연결되고 자존감도 회복됐다고 어르신들은 말합니다.

인터뷰> 김근영 / 시니어 점자 도우미·68세
"일은 할 수 있는데 나이 때문에 제지를 당하고 그런 게 있었는데, 센터 와보니까 받아주시고 또 일도 하다 보니까 참 보람이 있네요."

남을 돕는 일을 했다는 자부심에 활력도 절로 느낍니다.

인터뷰> 김근영 / 시니어 점자 도우미·68세
"아 즐거운 곳으로 간다. 행복한 곳으로 간다. 일하러 간다. // 20:26~ 하다 보니까 참 즐겁고 급여도 나오고 그러니까 생활에 또 활력도 있고."

사회적 가치와 고령친화적 노동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상생형 일자리.
실제로 반응은 뜨겁습니다.
올해 초 20명 일자리 모집에 70명 가까이 신청서를 제출했습니다.

인터뷰> 박대현 / 서울중구시니어클럽 실장(노인일자리사업 수행기관)
"저희가 처음에는 시니어클럽에서 운영을 했는데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을 통해서도 이제 전국 사업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내년에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해 내기 위해서 지금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말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가운데, '단순 노동 중심'을 넘어 신노년 세대의 경험과 역량을 살린 다양한 일자리 모델을 발굴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백영석 황신영 / 영상편집: 김세원 / 영상제공: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녹취> 은성호 / 보건복지부 인구사회서비스정책실장
"새로운 수요에 반응하고 노인일자리가 단순하게 노인분들의 소득만을 창출하는 분야가 아니라 삶의 질을 높이고 우리 사회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정유림 기자 act12@korea.kr
일하기를 원하는 노인들이 늘어나는 만큼 일자리를 늘리고 노동의 질 제고를 위한 정부의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TV 정유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