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5년 APEC 정상회의 배너 닫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임신부 타이레놀 먹어도 돼···복용량 준수해야"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임신부 타이레놀 먹어도 돼···복용량 준수해야"

등록일 : 2025.10.10 20:25

모지안 앵커>
10월 10일 '임산부의 날'을 맞아 임신 중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돕기 위한 식약처의 개정 지침서가 나왔습니다.
임신 초기 38℃ 이상 고열이 지속될 때 진통제인 타이레놀을 복용할 수 있는데요.
임신 기간 동안 복용해도 되는 약과 금기 약물은 무엇인지 정유림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녹취>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타이레놀을 복용하는 건 좋지 않습니다."

정유림 기자>
임신부가 타이레놀을 먹으면 자폐아 출산 위험이 커진다며 최근 위험성을 경고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논란은 확산됐습니다.
임신 중 해열진통제로 타이레놀 복용은 괜찮은 것일까.
우리 정부는 기존에 알려진 대로 임신 중에 '아세트아미노펜'성분의 해열·진통제 복용이 가능하다는 공식 입장을 즉각 냈습니다.
현재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이 포함된 의약품의 국내 허가 사항에는 임신 중 복용과 자폐증 사이 연관성에 대한 내용이 없어 기존 주의사항대로 복용이 가능하다고 했습니다.
다만 하루 복용량은 4천mg을 넘기지 않아야 합니다.

전화 인터뷰> 송병정 / 대전시약사회 학술이사
"4천mg 이상 복용하게 되면 독성물질도 많이 생기고 글루타치온도 다 쓰게 되어서 간 독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간부전이나 혼수상태를 유발할 수도 있기 때문에 꼭 정해진 용량 안에서 드셔야 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임산부의 날을 맞아 이런 내용을 담은 임부 의약품 적정사용 정보집 개정판을 내고, 임신 중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독려했습니다.
지침에 따르면 임신부가 감기 증상 중 콧물·코막힘이 있을 때는 세티리진과 클로르페니라민을, 기침에는 덱스트로메토르판 성분의 의약품을 복용할 수 있습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임신 20~30주에는 최소량·최단기간만 사용하고 30주 이후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변비 증상이 지속된다면 락툴로즈 또는 차전자피 성분 의약품을 먹을 수 있습니다.
일부 약물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여드름 치료제에 들어가는 이소트레티노인과 다이어트 보조제에 들어가는 토피라메이트 등의 성분은 태아의 기형을 일으킬 수 있어 복용을 중단해야 합니다.
식약처는 임신 중 의약품 사용은 임부와 태아 건강에 직결되는 만큼, 복용 전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정유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808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