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처럼 고위공무원단의 개방형과 공모 직위가 확정됨에 따라 이제 고위공무원단은 출범을 위한 만반의 준비를 갖추게 됐습니다.
그동안 연공서열 중심이었던 공무원 사회도 본격적인 경쟁 체제에 접어들게 됐습니다.
재정경제부 정책홍보관리실의 장태평 실장.
지난 2003년 부처간 국장급 인사교류때 농림부 구조정책국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지난해 친정인 재경부로 복귀했습니다.
부처간 국장급 인사교류는 고위공무원단 제도 도입에 앞서 시범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제도.
이를 통해 고위공무원단 제도의 성공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7월달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고위공무원단 제도.
공무원 사회에 쓰나미가 불어닥친다는 이번 제도의 핵심은 고위직 공무원 자리를 개방하고 경쟁을 도입함으로써 역량있는 정부를 구현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정부가 공무원 사회에 큰 변화를 몰고 올 고위공무원단 제도를 도입하는 이유는 뭘까?
무엇보다 공직사회의 경쟁력이 민간 기업에 비해 떨어지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합니다.
고위공무원단제가 실시되면 우선 성과급 연봉제가 도입됩니다.
직무는 일의 곤란한 정도와 책임 정도에 따라 다섯 등급으로 나눠지며 직무급만 1년에 최고 960만원까지 차이가 납니다.
연말 성과급까지 합하면 같은 직급이라도 연봉이 1천만원 넘게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또한 각 부처는 실국장급 고위직 자리 가운데 절반을 다른 부처 소속이나 민간 전문가 등 외부 인사에게 개방하게 됩니다.
근무성적이 2년 동안 최하위면서 1년이상 보직을 못받거나, 1년 이상 최하위 등급에 보직없이 1년 반 이상을 지내면 면직 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당연히 공무원들이 불안해 할 만한 내용이지만 오히려 자기계발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평갑니다.
정부 혁신의 주체는 공무원.
고위공무원단 제도가 우리정부를 더 역량 있고 효율적인 정부로 변화시키는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