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가 2025년 예산안을 발표했습니다.
세계 문화강국 실현을 위한 문화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초점을 맞췄는데요.
김현지 앵커>
문화소외계층 지원부터, 지역 문화예술 확대, 중예산 영화 투자 등 다양한 분야의 예산을 확대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서울 스튜디오 연결해 살펴봅니다.
박성욱 앵커!
박성욱 앵커>
네, 대담 이어갑니다.
내년 문체부 예산과 관련해 문화체육관광부 황성운 기획조정실장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출연: 황성운 /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조정실장)
박성욱 앵커>
문체부가 내년도 예산안을 올해보다 2.4% 증가한 7조 1214억 원으로 편성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에 앞서, 증액된 배경은 무엇인지 설명해주시죠.
박성욱 앵커>
내년도 예산안을 편성하실 때 어느 부분에 중점을 두셨는지도 궁금한데요.
관련해서 말씀 부탁드립니다.
박성욱 앵커>
순수예술 분야 예산이 크게 확대된 것 같은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투자와 지원이 이뤄지는 건가요?
박성욱 앵커>
콘텐츠 부문 예산 중 특히 콘솔 게임이나 만화·웹툰 등 신규시장 개척을 위한 예산 확대가 눈에 띄는데요, 구체적인 내용과 이 부분에 집중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박성욱 앵커>
또한, 코로나19로 침체된 중예산 영화 제작과 애니메이션 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국내 영상 산업의 경쟁력을 높인다고요?
박성욱 앵커>
지역의 특색 있는 문화 자원을 활용한 '대한민국 문화도시'도 본격 추진한다고 하는데요.
어떤 내용인가요?
박성욱 앵커>
체육 분야 예산도 증액됐는데요.
특히 차세대 국가대표 지원을 대폭 늘렸다는데, 관련해서 설명해주시죠.
박성욱 앵커>
미래세대와 취약계층에게 문화 활동 기회도 넓힌다고 하는데요.
어떤 계획인지 설명해주시죠.
박성욱 앵커>
콘텐츠·관광·스포츠산업 전반의 정책금융을 정비해 투자를 촉진하고 기업체의 성장을 돕기 위한 예산 편성했다고 하는데요.
관련해서 설명해주시죠.
박성욱 앵커>
콘텐츠와 뷰티·식품 등 연관 산업의 동반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관계부처가 협업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어떤 내용인가요?
박성욱 앵커>
코로나19를 극복하고 방한관광시장이 빠르게 회복중이라고 하는데요.
외래 관광객 유치를 위한 투자가 필요할 것 같은데요, 어떻게 반영돼있을까요?
박성욱 앵커>
지금까지 2025년 문체부 예산안에 대해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K-컬처의 지속 발전을 위해 중요한 시기인 만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재정투자가 중요할 것 같은데요.
문체부의 앞으로의 계획이 있을까요?
박성욱 앵커>
지금까지 문화체육관광부 황성운 기조실장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