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광주에 첫 대학생 푸드트럭 '성업중'
앵커>
정부가 청년 일자리 창출 방안의 하나로 추진하는 푸드트럭이 전남 광주에도 문을 열었습니다.
시청 앞 광장에 등장한 푸드트럭 1호점을 최유리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사내용]
광주광역시 시청 앞 야외 스케이트장 앞입니다.
매점 옆에서 커피 등 음료를 파는 한 푸드트럭이 눈길을 끕니다.
2평 남짓한 트럭 내부 공간에서 커피를 만드는 젊은...
-
유통기한이 지나도 먹을 수 있는 식품이 있다? [카드 뉴스]
유통기한이 며칠 지난 음식을 발견했을 때.
먹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해 본적 있으시죠.
버리기에는 아깝고, 먹기에는 찜찜한 기분이 드셨을 텐데요.
유통기한은, 판매가 가능한 최종기한을 의미합니다.
식품에는 유통기한 뿐 아니라, ‘소비기한’이 있는데요.
바로 이 ‘소비기한’이, 식품을 섭취해도 건강과 ...
-
유통기한이 지나도 먹을 수 있는 식품이 있다? [카드 뉴스]
유통기한이 며칠 지난 음식을 발견했을 때.
먹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해 본적 있으시죠.
버리기에는 아깝고, 먹기에는 찜찜한 기분이 드셨을 텐데요.
유통기한은, 판매가 가능한 최종기한을 의미합니다.
식품에는 유통기한 뿐 아니라, ‘소비기한’이 있는데요.
바로 이 ‘소비기한’이, 식품을 섭취해도 건강과 ...
-
유통기한이 지나도 먹을 수 있는 식품이 있다? [카드 뉴스]
유통기한이 며칠 지난 음식을 발견했을 때.
먹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해 본적 있으시죠.
버리기에는 아깝고, 먹기에는 찜찜한 기분이 드셨을 텐데요.
유통기한은, 판매가 가능한 최종기한을 의미합니다.
식품에는 유통기한 뿐 아니라, ‘소비기한’이 있는데요.
바로 이 ‘소비기한’이, 식품을 섭취해도 건강과 ...
-
유통기한이 지나도 먹을 수 있는 식품이 있다? [카드 뉴스]
유통기한이 며칠 지난 음식을 발견했을 때.
먹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해 본적 있으시죠.
버리기에는 아깝고, 먹기에는 찜찜한 기분이 드셨을 텐데요.
유통기한은, 판매가 가능한 최종기한을 의미합니다.
식품에는 유통기한 뿐 아니라, ‘소비기한’이 있는데요.
바로 이 ‘소비기한’이, 식품을 섭취해도 건강과 ...
-
백수오 식품 제조업체 원료 진위 검사 의무화
앞으로 백수오를 원료로 쓴 식품을 만드는 모든 제조업체는 진짜 백수오인지 사실 여부를 자체적으로 검사해야 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런 내용의 '식품 등의 자가품질 검사항목 지정 일부 개정고시안'을 행정예고하고 다음 달16일까지 의견수렴을 거쳐 고시 후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백수오를 원료로 사용하는 모든 유형의 식품 제조업체는 백수...
-
카드뉴스 (15. 11. 27. 11시)
김·떡·순, 김밥, 떡볶이, 순대를 한 번에 부르는 말입니다.
‘국민 간식’이라 해도 될 도로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데요.
그런데 위생에 대해서는, 미덥지 못했던 게 사실입니다.
실제로, 김밥에 들어가는 계란의 경우 깨진 채로 6만개의 제과점에 팔렸습니다.
연매출 수백억대의 한 식품회사에서, 대장균이 ...
-
순대·계란·떡볶이 이제 안심하고 드세요 [정책 포커스]
남MC>
순대, 떡볶이, 계란은 국민 간식이라 불릴 만큼 국민들이 즐겨 찾는 우리나라 대표 간식거리인데요.
하지만 위생에서만큼은 그동안 미덥지 못했던 게 사실입니다
여MC>
정부가 앞으로 3대 국민간식에 대해 식품안전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는데요.
자세한 내용, 식품의약품안전처 강석연 식품소비 안전과 과장과 함께 얘기 나눠 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
-
식약처, 겨울철 수산물 생산·유통 점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해양수산부와 전국 17개 시도와 함께 내년 2월까지 굴과 김, 다시마 등 겨울철 수산물의 생산·유통 판매를 점검한다고 밝혔습니다.
생산 단계에서는 동물용 의약품의 사용이 금지된 기간을 준수했는지 점검하고 수산물 집하장, 위·공판장에 대한 안전성을 조사합니다.
또 유통 판매 단계에서 노로바이러스, 대장균 등 유해...
-
"가공육· 붉은 고기 섭취 우려할 수준 아니다"
앵커>
최근 세계보건기구, WHO가 소시지와 햄 등의 가공육과 적색육을 발암물질로 규정했는데요.
이와 관련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우리 국민의 섭취량은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임상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사내용]
지난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가공육 섭취량은 하루 평균 6g.
WHO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