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한미 FTA 체결 되면 연간 GDP 2% 성장, 10만여명의 고용창출 효과를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중장기적으로 우리 경제의 규모를 키우고 효율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 FTA는 세계 최대 규모인 미국 내수시장으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해, 장기적으로 우리 경제에 이익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미 FTA가 발효되면 우리나라의 실질 국내총생산은 2% 올라가고, 고용부문에서도 10만 4천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대외 신인도가 높아져 외국인 직접 투자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가 취약한 서비스업의 경쟁력도 한 차원 높아질 수 있습니다.

한미 FTA의 최대 수혜업종은 자동차입니다.

섬유와 전자, 의류산업도 수출 확대가 기대됩니다.

석유화학산업과 기계류, 철강산업은 미국과 관련성이 적어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관측됩니다.

하지만, 농.축.수산업 분야는 타격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업종별로 득실이 엇갈리긴 하지만, 동북아에서 미국과 FTA를 체결하는 첫 국가가 되면서, 우리나라는 동북아 경제권의 중추로 부상하고 더불어 발언권이 세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하지만, 북핵문제 등 정치적 현안 때문에 FTA가 지연될 수도 있고 국내 인프라 부족으로 외국인 투자가 기대에 못 미칠 것이란 전망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