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2일은 노인의 날이었습니다.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2008년 7월 현재 우리나라 총 인구중 65세 이상의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10.3%로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다고 합니다.
네, 국민 열명 중 한명이 노인이라는 얘기인데요.
이처럼 고령화가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노인의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요인이죠.
노인 취업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 준비했습니다.
도움 말씀 주시기 위해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교육연구센터의 강성추 센터장 나와 계십니다. 어서 오십시오.
통계자료에서도 봤지만 인구 10명당 1명이 노인이란 계산이 나오는데요. 우리나라,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죠?
평균수명 연장과 저출산 현상과 겹쳐 고령화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고도 하는데요.
우리나라의 고령화 실태, 어느 정도입니까?
말씀하신 것처럼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면 자연히 부양의 문제가 부담으로 작용할 텐데요.
현재 우리나라의 노년부양비는 어느 정도인가요?
실제로 지금의 노년층들은 집장만, 자녀교육, 자녀 혼사 등으로 현실에만 충실했지 변변한 노후 준비를 하지 못한 상태라구요.
우리나라 노인들, 노후대비는 어떻게 하고 있고 생활비 등은 어떻게 충당하고 있습니까?
통계청의 조사결과를 보더라도 노인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경제적 어려움, 그 다음이 건강문제라고 합니다.
이러한 요인이 작용해선지 일하고자 하는 노인수는 계속 늘고 있는 추세라구요?
경제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노인들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전에 비해 다양한 방면에서 노인들의 사회참여가 늘고 있는데요~
사회참여를 통해 경제적 부담도 줄이고, 생활의 활력도 얻고 있는 분이 계십니다.
이 분의 이야기 화면 통해 만나보고 자세한 이야기 더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화면 함께 보시죠.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