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전화를 이용한 금융사기인 보이스 피칭 범죄가 좀처럼 줄지 않고 있습니다.

범죄수법은 갈수록 지능화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18일 대책회의를 열어 보이스 피싱 근절을 위한 특별단속을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김현근 기자>

전화로 금융사고나 납치, 협박 등을 해 돈을 뜯어내는 사기수법, 일명 보이스피싱이 갈수록 지능화되고 있습니다.

검찰이나 법원 직원을 사칭해 협박하거나 자녀를 납치한 것처럼 꾸며 몸값을 요구하는 등 수법도 다양합니다.

이렇게 피해를 당한 건수만 지난 1년 동안 모두 3천990건.

피해액은 무려 371억에 달합니다.

정부는 최근 기승을 부리고 있는 전화 금융사기를 예방하기 위해 중국, 대만 등과 국제공조협력을 강화하고 단속기관 공조 아래 특별단속을 실시키로 했습니다.

정부는 18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국정현안정책조정회의를 열고 보이스 피싱 예방대책을 집중 논의해 이같이 결정했습니다.

정부는 우선 보이스피싱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현금입출금기를 통한 인출과 이체한도의 하향 조정하고 외국인 예금계좌 개설요건을 강화하는 한편 사기자금 지급정지 제도 도입 등 제도적 개선책을 마련키로 했습니다.

또한 등록된 주의계좌에 대한 자금흐름을 특별관리토록 했습니다.

국무조정실은 공공기관을 사칭하거나 ARS로 시작되는 전화,개인정보와 계좌정보를 상세히 묻는 경우,현금지급기 조작을 지시하는 경우 등은 사기전화일 가능성이 높다면서 경찰청 신고전화 1379나 금감원에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