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발생한 '식중독 현황'을 분석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1년 전보다 식중독 발생이 26% 줄었지만, '살모넬라균'에 의한 식중독 사례는 늘었습니다.
신경은 기자입니다.
신경은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지난해 '식중독 발생 현황'을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발생한 식중독은 모두 265건으로 1년 전보다 94건, 2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기온과 습도가 높은 여름철, 식중독 환자가 집중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7월에서 9월 사이 발생한 식중독이 전체 환자 수의 절반을 차지했습니다.
지난해 전체 식중독의 주요 원인이 된 병원체는 '살모넬라'였습니다.
달걀 껍데기에 묻어있는 '살모넬라'에 의한 식중독 건수가 58건으로 제일 많았습니다.
1년 전보다 20% 늘어난 수치입니다.
노로바이러스와 병원성 대장균으로 인한 식중독은 각각 37건, 24건 발생했습니다.
식약처는 '살모넬라 식중독'의 66%는 음식점에서 발생했다며, 교차 오염을 막기 위해 식재료와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전화 인터뷰> 한정아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중독예방과 연구관
"살모넬라균은 달걀 껍질 등에서 다른 식품으로 교차오염이 될 수 있어 달걀 만진 후에는 비누 등을 이용해서 손을 깨끗이 씻고 다른 조리를 하시는게 좋겠고요. 또 가열할 때 충분히 가열하는 게 중요합니다."
또 9월에도 식중독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냉장 식품은 5도 이하, 냉동식품은 영하 18도 이하로 보관하고 식재료별로 조리기구를 구분해 사용하는 등 '식중독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신경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