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8월 소비자물가 1.7%↑···9개월 만에 최저 증가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8월 소비자물가 1.7%↑···9개월 만에 최저 증가

등록일 : 2025.09.02 20:03

김경호 앵커>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농축수산물 가격이 크게 오른 반면 서비스 가격은 떨어지면서 전체 상승 폭이 조정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통계청이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동향 결과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45로 1년 전보다 1.7% 올랐습니다.
지난해 11월 1.5% 상승 이후 최소폭 상승입니다.
품목별로는 농·축·수산물 가격이 채소류 중심으로 4.8% 오르면 상승 압력을 키웠습니다.
농·축·수산물의 상승률은 지난해 7월 이후 13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으로 통계청은 전체 물가를 0.37%p 끌어올리는 효과를 냈다고 설명했습니다.
채소류 가운데 배추가 51.6% 올랐고, 파프리카와 시금치가 각각 52.1%, 50.7%씩 전월 대비 두 자릿수 이상 뛰었습니다.
반면, 공공서비스는 3.6% 하락했습니다.
특히, 휴대전화료 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21.0% 떨어졌습니다.
휴대전화료는 코로나19 당시 전 국민 통신비 2만 원 지원이 있었던 2020년 10월 이후 최대폭으로 내렸습니다.
통계청은 SK텔레콤이 해킹사태로 대규모 가입자 이탈이 벌어지자 8월 한 달간 2천만 명이 넘는 전체 가입자의 통신 요금을 50% 감면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했습니다.
석유류 가격도 전년 동월대비 1.2%, 하락하며 공업제품 물가 상승 폭을 줄였습니다.

녹취> 이두원 /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
"휴대전화료 같은 경우 이번 8월에 일시적으로 감면됐기 때문에 하락 폭이라든지 이런 것 감안했을 때는 그게 원래의 가격으로 환원된다고 하면 다음 달에는 그 영향으로 일부 상승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한편, 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과 에너지 제외 지수는 1.3% 상승했습니다.
(영상취재: 김세원 / 영상그래픽: 손윤지)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 상승률도 1.5%로 전달보다 크게 낮아졌습니다.

KTV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