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가 발표한 123대 국정과제 가운데, 보건복지부는 '기본이 튼튼한 복지 강국, 국민 모두가 행복한 대한민국'을 비전으로 11개의 과제를 수행하게 됐는데요.
앞으로 추진될 보건복지 정책들은 무엇인지 또 이 정책들은 우리 삶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게 될지,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과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출연: 정은경 / 보건복지부 장관)
차현주 앵커>
먼저 복지부 장관으로 취임하신 이후 국민의 보건복지 현안을 직접 챙기시면서 느끼신 가장 큰 소회는 무엇입니까?
차현주 앵커>
장관님께서 정책을 추진하시면서 가장 중점적으로 두고 계신 원칙이나 철학은 무엇입니까?
차현주 앵커>
보건복지부 소관 사업으로는 대표적으로 어떤 것들이 있나요?
차현주 앵커>
몇 가지 핵심 과제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기본적 삶을 위한 안전망 강화' 항목이 있는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정책이 담겨있나요?
차현주 앵커>
지역사회 통합돌봄제도가 내년부터 전국으로 확대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국민이 체감할 가장 큰 변화는 무엇일까요?
차현주 앵커>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과 장애인지역사회자립법 시행을 추진 중이시라고요?
어떤 내용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차현주 앵커>
또 보건복지부의 국정과제로는 '아이 키우기 좋은 출산·육아 환경 조성'이 있죠.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정책이 추진됩니까?
차현주 앵커>
든든한 노후 보장을 위한 연금제도 개선 방안도 포함돼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가 기대되는지 말씀해 주시죠.
차현주 앵커>
'지역격차 해소, 필수의료 확충, 공공의료 강화' 과제에는 어떤 정책적 지원이 담겨 있습니까?
차현주 앵커>
'지속가능한 보건의료체계로 전환'을 위해 보건복지부가 준비 중인 주요 대책은 무엇입니까?
차현주 앵커>
지난 15일과 16일에는 APEC 보건·경제고위급회의가 개최됐습니다.
회의에서는 어떤 논의가 있었는지, 또 주요 성과는 무엇이었는지 말씀해주시죠.
차현주 앵커>
마지막으로 이 과제들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예산 확보 방안은 무엇인지, 또 지속가능성을 어떻게 담보해 나가실 계획인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차현주 앵커>
지금까지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