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5년 APEC 정상회의 배너 닫기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 국정과제 바로가기
본문

KTV 국민방송

온열질환자 4천460명···2018년 이후 역대 2위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온열질환자 4천460명···2018년 이후 역대 2위

등록일 : 2025.10.16 20:03

김경호 앵커>
올여름 온열질환자가 4천 명을 넘어 역대 두 번째로 많았습니다.
65세 이상 고령층이 전체의 30%를 차지해 온열질환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경은 기자입니다.

신경은 기자>
질병관리청이 올해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 운영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올 여름 온열 질환으로 신고된 환자는 4천460명으로 집계됐습니다.
1년 전보다 20.4% 증가한 수치로, 2018년 이후 역대 2위입니다.
온열 질환 추정 사망자는 29명이었습니다.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14.7% 감소하며, 역대 네 번째로 많았습니다.
온열질환자가 늘어난 주요 원인은 '폭염'이었습니다.
올해 7월 하순 평균 최고 기온은 33.9도로, 지난해보다 1.8도 높았습니다.
전체 온열질환자의 29%가 7월 하순에 발생했고, 사망자의 34.5%도 같은 시기에 집중됐습니다.
연령별로는 50대 환자가 19.4%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60대와 30대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65세 이상이 전체 환자의 30.1%를 차지했습니다.

전화인터뷰> 안윤진 / 질병관리청 기후보건·건강위해대비과장
"노년층은 체내 온도조절 기능이 약해져서 더위에 취약하게 되고요. 또 기저질환으로 약물을 복용하시는 경우에는 약물이 체온조절기능을 약화시키는 경우도 있어서 특히 온열질환에 취약하게 됩니다."

질환별로는 '열 탈진'이 62%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열사병, 열 경련, 열 실신 순이었습니다.
온열질환자 발생 장소는 실외가 79.2%로, 실내보다 3.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민혜정)
질병청은 취약계측을 위한 '맞춤형 예방 수칙'을 추가로 개발해 폭염으로 인한 건강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TV 신경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