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한일 정상회담 한미 정상회담
본문
저출산 고령화의 해법을 찾기 위해 9월 13일부터 서울에서 국제 정책포럼이 열리고 있는데요,

9월 14일 고령화로 발생하는 보건의료 재정문제와 주거문제에 대해 각국의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습니다.

기자>

세계에서 유래를 찾기 힘들 정도로 빠르게 고령화돼가는 우리 사회.

이 같은 노령인구의 급속한 증가는 건강보험 재정을 악화시키는 등 국민들의 노인부양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보다 일찍 이런 문제를 맞닥뜨렸던 선진국들은 고령화의 파고를 어떻게 헤쳐나가고 있을까.

네덜란드는 고령화에 따른 의료비용 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환자 중심의 보건의료체계를 마련하고 정확한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효과적인 보건의료 재정정책의 집행을 위해 물류나 조직 관리 등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는 건강보험료를 얼마나 책정해야 하느냐 보다는 각 세대가 어떻게 공평하게 부담할 것인지에 정책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습니다.

한편, 주거 정책과 관련해 스웨덴은 기초자치단체가 많은 재량권을 가지고 있는 점을 보다 효율적인 주거정책을 펼칠 수 있는 이유로 꼽았습니다.

또, 영국은 주택 보급에 민간의 참여를 활성화하는 한편 고령자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각종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는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전 세계가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상황, 우리나라도 예외일 순 없습니다.

서둘러 고령사회에 대비해야만 사회 전체의 인적 성장동력마저 잃어버리는 심각한 상황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 각국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