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한일 정상회담 한미 정상회담
본문

KTV 국민방송

‘보육 서비스 강화’로 육아 문제 해결

KTV 국정와이드

‘보육 서비스 강화’로 육아 문제 해결

등록일 : 2006.09.14

`비전 2030`을 부문별로 알아보는 네 번째 시간입니다.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는 저출산 문제, 결국 높은 양육비 부담이 큰 이유일텐데요.

정부는 보육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마음놓고 아이를 키울 수 있는 나라를 만든다는 계획입니다.

기자>

한국토지공사에 다니는 직장 여성 김재희씨.

첫째를 낳은 후 5년만인 지난 해 고심 끝에 둘째를 낳았습니다.

무엇보다 아이를 낳아도 돌봐줄 사람이 없다는 게 아이 낳기를 주저하게 만든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

이같은 김씨의 마음이 최근 한결 가벼워졌습니다.

직장 내 보육시설이 지난해 문을 열었기 때문입니다.

질높은 서비스는 물론 비용도 저렴해서 직장 내 엄마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비전2030이 추구하는 사회복지 선진화 전략은 이처럼 보육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부모의 육아부담을 완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정부는 2030년까지 보육비 지원 대상을 현재의 도시근로자 가구 70%에서 점차 확대할 계획입니다.

지난해 육아비용 부모부담률은 62%로, OECD 국가들의 평균 부담률보다 높았습니다.

또 보육 서비스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보육료 자율화 방안도 병행해서 추진합니다.

보육료 가격 규제가 보육 서비스의 질을 낮춘다는 판단에섭니다.

실제로 지난해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부모의 51.5%가 보육서비스 질이 낮다고 평가한 바 있습니다.

더불어 만 4세 이하의 영.유아에 대해서는 무상 보육 및 현물 지급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육아비 부담 없이 마음놓고 키울 수 있는 사회환경.

비전2030을 통해 실현되는 미래의 복지 한국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