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대중교통 지원 육성 기본계획
장애인이나 노약자들과 같은 이른바 `교통약자`들이 대중교통으로 이동하려면 큰 불편이 따르는 것이 사실입니다.

2011년이면 전국의 시내버스 가운데 절반 수준이 장애인들이 이용하기 편리한 `저상버스`로 채워질 전망입니다.

현재 1.5%에 불과한 저상버스 보급률이 2011년까지 전국 시내버스의 50% 수준으로 확대될 계획입니다.

지면과 차 바닥 사이가 일반 시내버스보다 낮은 저상버스는 출입구 계단이 거의 필요 없기 때문에 장애인과 어린이, 노약자 같은 `교통약자`가 승하차하기에 편리합니다.

건설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5개년 대중교통 기본계획을 수립하고2011년까지 중앙정부와 지자체, 민간부분에서 총 7조9천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습니다.

우선 인구와 교통 특성에 따라 주요 대중교통체계가 차별화됩니다.

인구 100만 이상의 대도시는 지하철 위주로 대중교통체계를 운영하고 50~100만인 도시는 경전철과 간선긴급버스로 개편하는 한편, 50만 이하 소도시는 버스 중심으로 교통체계를 구축합니다.

공항과 철도역, 버스터미널에서는 `환승교통종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해 대중교통 간 환승정보가 실시간으로 이용자에게 제공됩니다.

현재 과천을 포함한 20개 도시에서 서비스 중인 버스정보시스템은 2011년부터 인구 30만 이상의 도시로 확대됩니다.

이밖에도 도심혼잡특별구역을 지정해 고강도 교통수요관리 시책을 시행하고 인구 10만 이상의 도시에서는 보행우선구역 시범사업도 추진할 예정입니다.

계획대로라면 대중교통수송 분담률은 대도시를 기준으로 49%에서 55%로 늘어나고, 주요 간선도로 버스운행속도는 20km/h에서 29km/h로 향상돼 14조 원대인 교통혼잡 비용이 12조 원으로 줄어들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