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08학년도 대학입시부터는 내신 성적이 당락에 중요한 기준으로 떠올랐습니다.
공교육을 정상화해 학생과 학부모의 부담을 줄이자는 취지인데 현장의 반응은 어떤지 들어 보겠습니다.
지난 2일 전국 24개 대학은 오는 2008학년도 입시부터 학생부의 반영비중을 50% 이상으로 늘린다고 발표했습니다.
현재 고등학교 2학년부터 이 제도를 적용받게 됩니다.
일각에서는 이 제도가 도입되면 내신성적을 올리기 위해 오히려 사교육이 더 늘어날 것으로 우려합니다.
학생부와 수능은 물론 대학별 고사까지 3중고에 시달릴 것이라는 예기입니다.
또 학생부에 포함되지 않는 교과목에 대해서는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비판도 제기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공교육의 내실화와 수업의 정상화에 대한 기대도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수능시험과 대학별 고사를 위해 사교육에 집중하는 폐단을 막게 돼 학생들의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게 일선 교사들의 평입니다.
장기적인 시각으로 봤을 때도, 학생부 반영 비율이 늘게 되면 학교에서는 잠을 자고 밤에는 학원에서 입시 공부를 하는 비정상적인 체제도 바로잡힐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