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차세대 배터리 관람···'K-배터리 연대·협력' 약속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차세대 배터리 관람···'K-배터리 연대·협력' 약속

등록일 : 2021.07.08

박성욱 앵커>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 행사에서 배터리 제조부터 사용, 재활용까지 한눈에 볼 수 있는 배터리 전시관도 관람했습니다.

신경은 앵커>
K-배터리 연대·협력을 위한 3건의 협약도 체결됐는데요.
계속해서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K-배터리 전시관 관람
(장소: 오늘 오후, LG에너지솔루션 충북 오창 제2공장)

제조부터 사용, 재활용까지 배터리 생애주기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배터리 전시관.
문재인 대통령이 이곳을 찾아 전고체 배터리 시제품 등 K-배터리의 우수성을 직접 확인했습니다.
전고체 배터리는 기름에 튀기거나 가위로 잘라도 안전한 차세대 배터리의 대표 품목입니다.

녹취>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
“기존의 액체 전해질에서 고체, 또는 지금 보시는 것과 같이 젤 형태의 준고체 전지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이런 전해질 대체를 통해서 배터리의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이거는 전혀 화재 같은 것도 나지 않고, 충격이나 이런 것에도 아주 안전하다는 거죠? (네, 그렇습니다.)”

문 대통령은 국산 배터리가 탑재된 국산 소형 화물형 전기차에 직접 탑승하기도 했습니다.
상생형 지역일자리인 '군산형 일자리'를 통해 탄생한 전기차로 문 대통령은 최근 SNS를 통해 1호차 출고를 직접 축하하기도 했습니다.

녹취> 대창모터스 관계자
“중소기업으로서 최초로 이 화물밴을 만들었고. 이로 인해서 저희가 일자리 창출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K-배터리 연대·협력 협약식
(장소: 오늘 오후, LG에너지솔루션 오창 제2공장)

이날 행사에서는 K-배터리 연대·협력 협약식도 진행됐습니다.
먼저,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국내 배터리 3사와 현대자동차, 주요 소부장 기업 등이 차세대 배터리 기술개발에 힘을 모으기로 했습니다.

녹취> 김종현 / LG에너지솔루션 사장
“R&D 및 생산 기술 허브가 되어 전 세계 차세대 배터리 개발과 생산 기술을 이끌어가겠습니다.”

또, 배터리 3사와 산업통상자원부는 800억 원 규모의 'R&D 혁신펀드'를 조성해 중소·중견기업의 연구개발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배터리 3사와 재사용·재활용기업, 충청북도 등은 '사용 후 배터리 활용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최성진 / 포엔 대표
“잘 사용한 전기차의 배터리는 10년이 지난 후에도 약 80% 이상의 성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동차가 아닌 다른 에너지원으로 활용한다고 하면 추가로 10년 이상은 더 활용이 가능합니다.”

협약식 후에는 LG에너지솔루션 시험연구센터 착공식이 개최됐습니다.
(영상취재: 강걸원, 구자익 / 영상편집: 이승준)
시험연구센터에는 차세대 배터리 개발과 인력 양성 등을 수행하는 R&D 중심 공장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KTV 문기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