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대유행을 거치면서 바이오 기술은 곧 국가 안보의 핵심으로 떠올랐는데요.
국가바이오위원회를 주재한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은, 범부처 차원의 바이오 연구개발 중점분야 선정이 필요하다며 부처 간 협업을 주문했습니다.
김유리 기자입니다.
김유리 기자>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mRNA 백신 개발에 기여해 노벨상을 수상한 드루 와이스먼.
mRNA 백신의 핵심 기술을 통해 인류 건강을 지키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습니다.
팬데믹 위기를 거치며 바이오 기술은 국가 안보의 핵심 수단으로 그 중요성이 더 높아졌습니다.
(제2차 국가바이오위원회 회의)
정부도 지난 1월 출범한 국가바이오위원회를 토대로 바이오 역량 경쟁력 확보에 나섰습니다.
우선 AI 신약, 감염병 치료제 개발 등 바이오 R&D 10대 중점분야를 선정하고, 각 분야별로 추진 방향을 마련할 방침입니다.
녹취> 이주호 / 대통령 권한대행
"우리 경제를 견인할 수 있도록 '범부처 바이오 R&D 중점 분야'를 선정하고, 중점 R&D 분야별 부처 간 연계와 협업을 통해 R&D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합니다."
이를 관계부처에 보내 내년 정부 R&D 예산 편성에도 참고하기로 했습니다.
이 권한대행은 바이오 분야 혁신 동력 강화를 위해 규제 혁신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부처별로 흩어진 복합 바이오 규제 등을 혁신해, 글로벌 혁신을 선도할 수 있는 규제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위원회에서는 현재 국내 바이오 정책의 현주소도 짚었습니다.
우리나라 바이오 R&D의 정부 지원과 민간 투자 규모는 2022년 기준 11조7천억 원.
이는 글로벌 제약사 1개 수준에도 못 미칠 정도로 저조한 실정입니다.
뿐만 아니라 원료의약품 등에 대해 해외 의존도가 높고, 선진국과의 기술격차가 크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바이오기업 제조 역량을 강화하고, 바이오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율도 높이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김태우 / 영상편집: 김예준)
더불어 바이오 데이터 관리체계를 도입해 글로벌 공급망도 다변화하겠다는 계획입니다.
KTV 김유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