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한민족의 명산' 금강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한민족의 명산' 금강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등록일 : 2025.07.14 11:38

김용민 앵커>
한반도 대표 명산, 금강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습니다.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의 가치가 어우러진 '복합유산'으로 인정받았는데요.

김현지 앵커>
이번 등재로 북한은 모두 3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습니다.
보도에 김찬규 기자입니다.

김찬규 기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북한 금강산을 세계유산으로 확정했습니다.
북한이 지난 2021년 등재 신청서를 낸 지 약 4년만입니다.
코로나19 유행으로 평가와 심사가 이뤄지지 않아 올해 뒤늦게 심사를 받았습니다.
높이 1천638m, 비로봉을 중심으로 수많은 봉우리와 기암괴석, 폭포와 연못이 어우러진 금강산은 계절마다 옷을 갈아입으며 뛰어난 풍광을 자랑합니다.
강원도 회양군과 통천군, 고성군에 걸쳐 자리한 금강산에는 유서 깊은 사찰이 즐비합니다.
과거부터 그림과 문학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등장하며 한반도를 대표하는 명산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전화인터뷰> 최종희 / 배재대 조경학과 교수
"금강산 전체가 종교적 측면, 예술적 측면, 생태 미학적 측면의 총체적인 융합 공간이라고 하는 장소성을 가지고 있다고 봐요. 한민족의 정체성이라든가 신비의식 같은 것들이 내재돼있는 대표적인 문화경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금강산은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의 가치를 두루 갖춘 '복합유산'으로 등재됐습니다.
남북한을 통틀어 첫 복합유산입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독특한 지형과 경관, 불교의 역사와 전통 등이 얽혀 있는 금강산이 문화적 경관으로서 가치가 크다고 등재 이유를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정성헌)
이로써 북한은 평안남도 일대의 고구려 고분군과 개성 역사유적지구에 이어 3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습니다.

KTV 김찬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