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배너 닫기
이재명 대통령 UN총회 참석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 국정과제 바로가기
본문

KTV 국민방송

국민 소득 45세 정점···61세부터 적자로 돌아서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국민 소득 45세 정점···61세부터 적자로 돌아서

등록일 : 2025.09.25 20:48

모지안 앵커>
우리 국민 소득이 45세에 최고점에 이르고, 61세부터 다시 적자로 돌아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 전체의 '생애주기적자'도 지난 2023년 사상 처음으로 200조 원을 넘어섰는데요.
통계청 조사 결과를 김유리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김유리 기자>
소비에서 노동 소득을 뺀 금액을 뜻하는 '생애주기적자'.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국민이전계정'을 보면 우리 국민의 생애주기 가운데 소비는 16세 때 가장 많았습니다.
28세부터는 소비보다 노동소득이 많아지면서 흑자로 돌아서고, 45세에 흑자의 정점을 찍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후 소비가 노동 소득보다 많아지는 61세부터 다시 적자 상태가 되는 3단계 구조를 보였습니다.

전화인터뷰> 임경은 / 통계청 경제통계기획과장
"유년층에서 나타나는 적자의 형태는 보통 교육비가 민간이나 공공소비를 통해서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이고요. (고령층에서는) 보건 소비가 특히 많기 때문에 적자를 나타내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눈에 띄는 부분은 적자 재진입 시기가 늦어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2010년도 56세이던 적자 전환 시기가 2023년에는 61세로 5년 늦춰졌습니다.
2023년 국민 전체의 생애주기적자 총액은 전년보다 약 16% 늘어난 226조4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200조 원을 넘어선 겁니다.
통계청은 적자가 크게 늘어난 원인을 노동 소득보다 소비의 증가폭이 더 컸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김유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