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건설사를 대상으로 한 정부의 PF 특별보증과 미분양 안심환매 사업에 현재까지 8천억 원 이상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는 올해 안에 약 1조 원 이상의 유동성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는데요.
보도에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올해 2차 추가경정예산과 지방중심 건설투자 보강 방안에 담긴 PF 특별 보증.
착공 후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 건설사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시공순위 100위권 밖의 중소건설사의 사업장까지 지원 대상입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기존 PF 대출보증 대비 시공자 평가 비중과 사업성 평가 비중을 완화했습니다.
또 중소 건설사의 주요 자금조달 수단을 고려해 보증 대상 금융기관을 저축은행까지 확대하고, 심사 절차와 보증료율을 모두 유리하게 적용받을 수 있도록 개선했습니다.
이러한 자격 완화로 도입 두 달 만에 5곳의 중소 건설사 사업장에 총 6천750억 원의 PF 특별보증이 승인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2곳의 사업장을 대상으로 심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올해 안에 약 8천억 원 규모의 PF 특별보증이 지원될 전망입니다.
정부는 올해를 포함해 2027년까지 약 2조 원의 자금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녹취> 유병서 / 기획재정부 예산실장
"지금 금융 쪽에 애로가 있어서 우수 사업장의 경우에도 대출에 애로가 있는 부분이 있어서 HUG를 통해서 저희가 보증을 함으로써 2천억 원 정도의 재원을 투자해서 2조 원 정도의 자금 공급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분양 안심환매 사업에 대한 중소 건설사의 호응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분양 물량으로 자금난을 겪는 지방 사업장에 한시적으로 약 3~4%대의 저금리 자금을 공급하는 것으로 지난 9월 1차 모집 이후 현재까지 1천644억 원 규모의 신청이 접수됐습니다.
정부는 이달 중 심사를 거쳐 연내 자금 지원까지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지난 4일부터 2차 모집 공고에 나선 가운데 주택업계 편의를 위해 신청 기간을 제한하지 않고 수시 접수 방식으로 바꿔 지원 하기로 했습니다.
또 업계의 제안을 반영해 공정률 기준 미달성 사업장도 자금지원 전까지 달성하는 조건으로 신청할 수 있도록 하고, 시공순위 30위 내 건설사의 우선 지원 신청 등 요건을 완화합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이리나 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