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뉴스데스크>에서는 지난 20일 “생색만 낸 정보화마을”이란 제목으로 정보화마을 운영 실태를 보도했습니다.
MBC는 도시와 농촌의 정보 격차를 줄이기 위해 농촌에 정보화마을을 조성했지만 실제 정보화 교육이나 시설 이용은 미미하다면서 정보화마을 정책에 대해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행정자치부는 농어촌의 정보이용을 생활화하고 주민 소득을 증대하기 위해 2001년부터 정보화마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정책의 취지를 설명했습니다.
행정자치부 서비스정보화팀의 이상근 팀장 목소리로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이상근 / 행정자치부 서비스정보화팀장>
정보화마을 사업은 행정자치부가 2001년부터 정보화 소외지역인 농어촌의 정보격차 해소를 통한 정보이용의 생활화, 인터넷을 통한 지역커뮤니티 활성화, 농어촌 특산물의 전자상거래를 통한 주민소득증대로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추진해온 사업으로서 지난해 12월말 현재 전국적으로 305개 마을이 조성·운영되고 있습니다.
행정자치부는 지난해에 이미 사업의 전반적인 재검토를 통해 ‘정보화마을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는 등 사업 활성화 대책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서 들어보시겠습니다.
이상근 / 행정자치부 서비스정보화팀장>
행정자치부에서는 2005년부터 이미 조성되어 운영 중인 정보화마을에 대한 운영성과를 평가하여 우수한 마을에 대해서는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운영성과가 미흡한 마을에 대해서는 운영활성화를 위한 컨설팅을 추진하는 등 “정보화마을 운영활성화 계획”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보화마을사업의 장기적인 추진방향과 조성방법 등을 정립하기 위해 2001년부터 실시한 사업의 전반적인 재검토를 통해 앞으로 추진할 “정보화마을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행정자치부는 올해부터 정보화마을을 “정보격차 해소형”과 “소득형“으로 구분하여 조성함으로써 농어촌의 정보격차 해소를 통한 정보이용의 생활화와 주민 소득증대라는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정보화를 접목한 살기 좋은 농어촌 만들기“를 적극 추진할 계획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