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UN, 안보리 북핵 제재 결의안 채택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핵실험을 강행한 북한에 대해 군사 제재 가능성은 배제했지만 강력한 외교적 제재를 가하는 대북 제재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습니다.
기자>
북한이 핵실험을 주장한 후 엿새 만에 강력한 대북 제재 결의안이 채택됐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미국 등 5개 상임이사국과 의장국인 일본이 참석한 가운데 이견 조율 뒤 전체회의를 열어 ...
-
UN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 만장일치 채택
유엔 안보리는 현지시간으로 14일 북한의 핵실험을 국제사회에 대한 위협으로 규정, 군사조치 가능성은 배제하되 강력한 경제적 외교적 제재를 가하는 대북 제재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습니다.
뉴욕의 주 유엔 대사관 공형식 홍보관을 전화로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Q> 북한 핵실험 발표 이후 엿새 만의 채택은 매우 신속한 것으로 이례적인 것이라구요?
A>...
-
정부,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환영
유엔 안보리의 대북 결의안에 대해 우리 정부는 환영과 지지의 뜻을 밝혔습니다.
기자>
정부는 북한 핵실험과 관련한 유엔안보리 결의안 통과에 대해 지지와 환영의 뜻을 나타냈습니다.
정부는 15일 오전 이 같은 내용의 성명을 발표하고 유엔 안보리 회원국으로서 결의안 내용을 성실히 이행해 나가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에 채택된 결의안은 북한에 대한 ...
-
`유엔 안보리 결의 남북경협 해당 안돼`
15일 채택된 유엔 안보리 결의와 관련, 정부 당국자는 `이번 결의는 남북 경협사업에는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또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 PSI 문제에 대해 `한국은 아주 정교하게 규정된 남북해운합의서가 존재하기 때문에 안보리 결의 규정과 상관없이 이 문제를 잘 이해하고 있다`면서 `안보리 결의 조항과 PSI는 직접...
-
`북한, 결의 이행하지 않으면 더 큰 제재`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당선자는 북한이 안보리 결의를 이행하지 않으면 유엔헌장 규정에 따라서 더 강경한 조치를 취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반 당선자는 폭스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이번 결의안이 가장 효과적인 조치라며, 북한 대표가 유엔 결의를 거부한다고 선언한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반 당선자는 또 핵미사일 발사나 2차 핵실험설과...
-
이슈 & ISSUE
지난 9일, 북한은 그동안 세계 사회가 우려하던 핵실험을 단행했습니다. 북한의 핵실험 소식이 전해진 하루 내내, 국민적 쇼크는 물론 전세계 외신들이 긴급 뉴스로 타전하며 한반도 긴장 분위기를 고조시켰습니다.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무력사용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또한 한국 경제의 불안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한국의 대외신용...
-
美, 대북제재 수위 대폭 완화
미국이 대북 제재 수위를 대폭 완화했습니다. 이에 따라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안이 곧 채택될 것으로 보입니다.
Q> 미국이 군사적 제재를 배제하는 내용으로 결의안을 수정했다구요?
A> 미국이 공개한 수정된 결의안에는 초안과 달리 북한에 대한 군사 제제조치는 빠져있습니다.
다만 군사적 용도로 사용 가능한 물류 수송만을 제재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
-
지질자원연구원, 북 핵 실험 장소 수정
북한이 핵실험을 한 곳으로 추정되는 장소가 수정됐습니다. 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는 그동안 계속적인 자료 분석 등을 통해 지난 9일 북한에서 발생한 인공지진의 진앙을 북위 41.267도, 동경 129.179도로 정식 수정했습니다.
이 지점은 지난 9일 인공지진 발생 당시 진앙으로 밝힌 함북 김책시 상평리에서 북북동쪽 51㎞ 떨어진 지점인 함북 길주군으로...
-
`북한, 경제제재시 심각한 마이너스 성장`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경제제재가 취해져 무역이 제한된다면 북한 경제는 심각한 마이너스 성장을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13일 보고서를 통해 경제제재를 통해 북한의 대외교역이 제한된다면 북한 경제는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 시절보다 훨씬 더 심각한 마이너스 성장을 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습니다.
연구원은...
-
북핵문제관련 중국은 수위조절, 일본 제재강행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이 13일 미국에 특사를 보낸데 이어 14일은 러시아에 특사를 보내는 등 본격적인 중재 노력을 벌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은 독자적으로 13일부터 추가 대북제재에 들어가 상반된 외교 행보를 보였습니다.
대북 제재를 둘러싼 관련국들의 움직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자>
후진타오 중국주석의 특사인 탕자쉬안 외교담당 부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