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북한 핵실험 강행
북한이 결국 핵실험을 강행했습니다. 안전성 보장된 핵실험을 하겠다고 발표한지 6일만인 지난 9일, 북한은 조선중앙통신사 보도를 통해 지하핵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는 발표를 했습니다.
벼랑 끝으로 치닫는 북핵문제, 과연 돌파구는 없는 것인지 우리 정부와 국제사회의 대응과 북한의 반응을 예의 주시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
美국무차관 韓·中·日 순방
북한의 핵실험 강행 발표로 국제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로버트 조지프 국무부 군축·국제안보담당 차관을 단장으로 한 미국 국무·재무부 합동팀이 이번주부터 일본과 한국, 중국을 차례로 방문할 예정이어서 주목됩니다.
오는 15일 한국에 도착할 예정인 미 국무·재무부 합동대표단은 미국 정부의 대량살상무기 비확산 업무를 총괄 지휘하는 조지프 차관이 이끄는데...
-
北, `핵실험 성공적 실시` 주장
북한은 9일 조선중앙통신사 보도를 통해 핵실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지하 핵시험을 안전하게 성공적으로 진행했다며 과학적 타산과 면밀한 계산에 의해 진행된 이번 핵시험은 방사능 유출과 같은 위험이 전혀 없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의 발표 내용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
UN 안보리, 북핵 관련 긴급회의 소집
북한이 국제사회의 강력한 경고를 무시한 채 핵실험을 강행함에 따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강력한 대응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안보리는 뉴욕 현지시간으로 8일 밤 늦게 북한의 핵실험 소식이 전해짐에 따라 정확한 정보수집에 나선 뒤 9일 아침 긴급회의를 소집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유엔 소식통들은 안보리가 일단 유엔 헌장 7장 41조에 따른 비군사...
-
유엔,北핵실험 포기 강력 촉구
UN 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제재를 강화할 것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북한의 핵실험을 막기 위한 국제사회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유엔 안보리 의장성명은 북한의 핵실험이 동북아와 다른 지역의 평화와 안보를 위협하는 것으로 간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따라서 북한의 핵실험은 국제사회의 비난을 초래할 뿐 아니라 북한의 안보에도 도움이...
-
정부, 천영우특사 중국파견 북한 핵실험 포기 설득
북핵 문제와 관련한 국제 사회의 움직임과 함께 우리 정부의 대응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7일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제에 대한 지지의사를 밝힌데 이어 2006년 10월 9일은 천영우 6자회담 수석대표를 중국에 파견해 북한의 핵실험 문제를 놓고 주변국과의 협조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기자>
북한의 핵실험을 막기 위한 정부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
-
정부 `북 핵실험 계획 즉각 취소해야`
정부는 북한의 핵실험 선언과 관련해 북한이 핵무기를 보유하는 것을 결코 용납하지 않는다는 정책을 분명히 재확인하며 핵실험 계획을 즉각 취소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추규호 외교부 대변인은 10월4일 오전 열린 안보정책조정회의 결과를 담은 성명을 통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정부는 성명에서 북한이 핵실험을 한다고 발표한 것은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
안보리, 중국 이견속 `북 핵실험 제재` 논의
UN 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의 핵실험 선언과 관련해 3일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북한을 강력히 규탄하는 의장 성명 또는 언론발표문 채택을 검토했지만 중국의 이견으로 난항을 겪었습니다.
미국은 안보리에서 북한의 핵실험 저지를 위한 안보리의 `예방적 외교` 수립 필요성을 강조했고 프랑스도 성명 발표를 통한 긴급 대응책을 요구했습니다.
이에 대해 중국은 북한...
-
EU, 북 핵실험 우려, 포기 강력 촉구
EU, 즉 유럽연합과 프랑스, 영국 등 핵심 회원국들은 북한의 핵실험 계획에 우려를 표명하면서 즉각 포기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핀란드 레비에서 열린 EU 비공식 국방장관 회의에 참가한 하비에르 솔라나 EU 외교정책 대표는 북한의 핵실험 계획에 대해 대단히 나쁜 소식이라고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프랑스는 북한의 핵실험은 지역과 국제안전을 심각하게 저해할 ...
-
통일부 브리핑
북한의 핵실험 선언과 관련해 청와대는 안보정책회의를 열고 북한의 핵 실험에 대해 단호히 대처할 것을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