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이슈 & ISSUE
지난 9일, 북한은 그동안 세계 사회가 우려하던 핵실험을 단행했습니다. 북한의 핵실험 소식이 전해진 하루 내내, 국민적 쇼크는 물론 전세계 외신들이 긴급 뉴스로 타전하며 한반도 긴장 분위기를 고조시켰습니다.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무력사용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또한 한국 경제의 불안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한국의 대외신용...
-
美, 대북제재 수위 대폭 완화
미국이 대북 제재 수위를 대폭 완화했습니다. 이에 따라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안이 곧 채택될 것으로 보입니다.
Q> 미국이 군사적 제재를 배제하는 내용으로 결의안을 수정했다구요?
A> 미국이 공개한 수정된 결의안에는 초안과 달리 북한에 대한 군사 제제조치는 빠져있습니다.
다만 군사적 용도로 사용 가능한 물류 수송만을 제재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
-
지질자원연구원, 북 핵 실험 장소 수정
북한이 핵실험을 한 곳으로 추정되는 장소가 수정됐습니다. 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는 그동안 계속적인 자료 분석 등을 통해 지난 9일 북한에서 발생한 인공지진의 진앙을 북위 41.267도, 동경 129.179도로 정식 수정했습니다.
이 지점은 지난 9일 인공지진 발생 당시 진앙으로 밝힌 함북 김책시 상평리에서 북북동쪽 51㎞ 떨어진 지점인 함북 길주군으로...
-
`북한, 경제제재시 심각한 마이너스 성장`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경제제재가 취해져 무역이 제한된다면 북한 경제는 심각한 마이너스 성장을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13일 보고서를 통해 경제제재를 통해 북한의 대외교역이 제한된다면 북한 경제는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 시절보다 훨씬 더 심각한 마이너스 성장을 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습니다.
연구원은...
-
북핵문제관련 중국은 수위조절, 일본 제재강행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이 13일 미국에 특사를 보낸데 이어 14일은 러시아에 특사를 보내는 등 본격적인 중재 노력을 벌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은 독자적으로 13일부터 추가 대북제재에 들어가 상반된 외교 행보를 보였습니다.
대북 제재를 둘러싼 관련국들의 움직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자>
후진타오 중국주석의 특사인 탕자쉬안 외교담당 부총...
-
북한 핵실험 강행, 이후 파장은?
9일 북한의 핵실험이 있고난 후, 10일 일본언론들은 북한이 또 한번 핵실험을 했다는 오보를 했습니다.
그만큼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서 전세계의 외신들이 민감하게 소식을 전하고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는 반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슈도 많고 논란거리도 많았습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얘기나눠보겠습니다.
-
방사능 오염 징후 없다
북한 핵실험과 관련해 방사능 오염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12일 과학기술부가 방사능 감시 현황과 대책을 밝혔습니다.
김현아 기자>
Q> 북한 핵실험 이후 방사능 오염에 대한 감시 결과는 어떻게 나왔습니까?
A> 과학기술부는 북한 핵실험이 우리나라에 미칠 방사능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비상대책반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과기부는 지난 9일 오...
-
대북제재 협상 난항 - UN 안보리 협상과 미일 입장
UN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의 핵실험에 따른 대북 제재 결의안 작성을 위한 조율작업에 들어갔지만 관련국들의 의견차로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미국과 일본의 강력한 제재 주장에 중국이 제동을 걸고 있습니다.
오세중 기자>
UN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안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미국과 일본은 UN헌장 7장에 따른 강력한 제재를 요구...
-
민간단체, ` 대북 지원 계속해야`
대북 지원사업에 나서고 있는 민간단체 대표와 관계자들은 최근 남북관계의 경색에도 불구하고 민간차원의 대북지원은 계속돼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일하 굿네이버스 회장과 김형석 한민족복지재단 회장 등 6명의 대북 교류.지원단체장들은 11일 연합뉴스가 실시한 대북지원에 대한 긴급 설문조사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들은 `민간의 대북지원은 정...
-
북한 핵실험 보도 관련 과장·확대보도 금물
북핵실험 강행 이후 언론들은 특보 체제에 돌입해 북한의 핵실험 강행 이유와 우리정부와 국제사회의 대응방식 등 보도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그런데 일부 언론이 막연한 불안감을 부추기거나 햇볕정책에 대해 사실과 다른 보도를 하고 있습니다.
기자>
지난 9일 북 핵실험 강행 소식이 알려진 이후 방송은 일제히 정규편성을 중단하고 북 핵실험 강행 배경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