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에는 부동산 시장과 대책에 대해 살펴보고 있습니다.흔히 부동산 거품 붕괴하면 일본의 사례를 자주 언급합니다. 일본 부동산 거품의 원인과 거품 붕괴로 인한 파장을 알아봅니다.
부동산 거품하면 떠오르는 일본.
1980년대 중반부터 91년 초까지 일본은 부동산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다 다시 곤두박질치면서 일본은 10여 년 가까이 불황의 늪에 빠졌었습니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부동산 거품의 원인으로 일본의 저금리 기조를 듭니다.
85년 플라자 협의후 엔화 가치가 2배 이상 상승하자 일본 중앙은행은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를 최소화하기위해, 저금리 기조를 유지했습니다.
그 결과 일본 가계는 대출과 부채를 기초로 해 부동산 자산을 쌓아올렸고
이는 상승작용을 통해 부동산 거품으로 이어집니다.
그러나 그 이후 금리가 반등하고 담보가치가 하락하면서 이는 부실 대출로 이어졌고 금융기관의 부실화를 낳게 됩니다.
부동산 거품이 컸던 만큼 붕괴의 여파도 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