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욱 앵커>
국민 생활 속 불편사항을 찾아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개선 과정을 취재하는 <우리동네 개선문>을 미리 보는 시간입니다.
최영은 기자 나와있습니다.
어서오세요.
◆최영은 기자>
안녕하세요.
◇박성욱 앵커>
이번주에는 어떤 사례를 취재하셨나요?
◆최영은 기자>
네, 제가 이번에 취재한 곳은 참 이상한 횡단보도였습니다.
◇박성욱 앵커>
이상한 횡단보도. 말로만 들어선 잘 모르겠는데 자세히 설명해주시죠.
◆최영은 기자>
네, 화면에서 보시는 것처럼 횡단보도 앞을 화단이 가로막은 곳이 있습니다.
보행자가 길을 건너려면 찻길로 돌아가서 건너거나, 아니면 화단을 뛰어 넘어야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박성욱 앵커>
그러니까, 길을 건너려고 보니 횡단보도 앞이 화단 막혀있는, 그런 황당한 경우군요.
◆최영은 기자>
네, 맞습니다.
아산시에 위치한 실제 도로인데요.
주민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어 찾아가봤습니다.
우선 어떻게 이런 횡단보도가 생긴 건지 알아봤는데요.
이 곳에는 몇 달 전만 하더라도 횡단보도가 없었는데, 횡단보도를 설치해달라는 요청은 꾸준히 증가했다고 합니다.
◇박성욱 앵커>
화면을 보니까 보행 인구가 꽤 있는 것 같아요.
◆최영은 기자>
네, 인근에 아파트 단지와 장례식장, 음식점 등이 있는데 이 곳에는 횡단보도가 없고 200m 이상 떨어진 횡단보도를 이용해야 했습니다.
◇박성욱 앵커>
그렇군요. 그래서는 안 되는데, 무단횡단을 하는 경우도 종종 있겠어요.
◆최영은 기자>
바로 그런 점 때문에 관할 지자체와 경찰 측에서 주민의 편의, 안전을 위해서 원래는 횡단보도 설치 기준에 완전히 부합하지는 않지만, 이 곳에 횡단보도가 설치된 겁니다.
◇박성욱 앵커>
정리해 보자면, 주민들의 편의와 안전을 위해서 횡단보도 설치가 빠르게 이루어진 건데요.
그런데 정작 화단 때문에 횡단보도의 실효성이 없어진 거네요.
◆최영은 기자>
네, 그렇습니다.
신호등을 설치해야 하는 횡단보도였다면 당연히 화단이나 턱이 정비가 됐을 텐데, 교통안전시설 심의 결과 이 곳이 신호등 설치 기준에는 못 미쳤기 때문에, 노면에 횡단보도를 그리기만 하면 되는 상황이었던 건데요. 그러다 보니 미처 보행로에 대한 정비가 이뤄지지 않은 채 횡단보도가 굉장히 빠른 시일 내에 설치가 된 겁니다.
◇박성욱 앵커>
그렇게 된 거군요.
그래도 다행히 이 문제가 해결이 되고 있다면서요,
◆최영은 기자>
네, 그렇습니다.
아산시 측에서는 최대한 빨리 이 문제를 해결한다는 입장입니다.
제가 처음 취재를 할 때는 공사를 시작하지 않았는데, 최근 저희 취재진이 갔을 때 공사에 착수한 상태였습니다.
이르면 이번 달 안에 공사가 마무리돼서 주민들의 편의와 안전을 위한 횡단보도로 재탄생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밖에도 천안의 한 아파트 단지와 초·중 고등학교 사이에 8차선 도로가 있지만 교통 안전 시설이 없어서 학생들이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는 사례도 함께 취재했는데요, 이 곳에는 다행히 육교를 설치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내일 오후 3시, KTV 우리동네 개선문을 통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박성욱 앵커>
네, 두 사연 모두 어떤 내용일지 기대가 되는데요.
시청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최 기자, 수고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