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간에 관세 문제를 조율하기 위한 2차 기술협의가 미국 워싱턴DC에서 시작됐습니다.
양국 대표단은 균형무역과 비관세 조치 등 6개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에 들어갈 예정인데, 협의의 내용과 전망을, 이혜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혜진 기자>
장성길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정책국장을 수석대표로 하는 우리 정부 대표단은 현지 시간 20일 미국에 도착해 미 무역대표부(USTR) 관계자들과 2차 기술협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번 2차 기술협의는 지난 1일 1차 협의에 이어 본협상에 앞서 세부 안건의 틀을 잡고, 사전 조율하기 위한 절차입니다.
정부 대표단은 오는 22일까지 사흘간 미 워싱턴 D.C.에서 미국 측 대표단과 협의를 이어갑니다.
대선 후 새 정부가 출범하기 전 열리는 사실상 마지막 대면 협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협의 의제는 지난 16일 제주 APEC 계기 한미 통상 장관급 회담에서 합의한 6개 분야로 좁혀졌습니다.
한미 양측 대표단은 균형무역과 비관세 조치, 경제안보와 디지털 교역, 원산지, 상업적 고려 분야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협의를 진행합니다.
이번 기술협의에서 미국이 우리 정부에 원하는 구체적 요구 사항을 제시할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미 무역대표부는 그간 국가별 무역장벽 보고서 등을 통해 30개월 미만 월령으로 소고기 수입을 제한하는 것과 구글의 정밀지도 반출 제약 문제, 스크린 쿼터제 등이 한국의 대표적 비관세 장벽이라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상호관세와 자동차·철강 등 품목별 관세 면제, 또는 인하를 목표로 미국과 관세 협상에 임하고 있습니다.
녹취> 안덕근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지난 16일)
"국익 최우선으로 미국과 적극 협의하는 한편 협의 과정에서도 국회 및 국민 여러분께 소상히 설명드릴 예정입니다."
정부 대표단은 이번 2차 기술협의를 통해 미국의 관세 조치 관련 우리 입장을 정확히 전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정성헌)
기술협의에 이어 다음 달 중순에는 미 통상당국과 협상을 중간점검하기 위한 2차 각료급 회의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KTV 이혜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