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비급여 진료비 연 7조 원···1인실 병실료 최다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비급여 진료비 연 7조 원···1인실 병실료 최다

등록일 : 2025.09.04 20:00

모지안 앵커>
국내 병원급 의료기관의 비급여 진료비가 한해 7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비급여 진료비 규모가 큰 항목은 1인실 상급 병실료와 도수치료였습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정유림 기자>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병원급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비급여 보고제도 자료 분석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비급여는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되지 않는 진료비를 말합니다.
병원급 의료기관의 지난해 9월분 진료비는 총 5천7백60억 원으로, 같은 해 3월분과 비교해 38억 원 가량 늘어났습니다.
이를 연간 규모로 단순 환산하면 병원급 의료기관의 비급여 진료비는 연간 약 6조9천124억원으로 추산됩니다.
의료기관별로 보면 병원이 2천5백59억 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이 뒤를 이었습니다.
한방병원은 비급여 진료비가 상반기보다 48억 원, 요양병원은 40억 원 가량 늘어 증가폭이 컸습니다.
항목별로 보면 상급 병실료 1인실이 전체 비급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도수치료와 치과 임플란트, 척추 MRI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상위 10개 항목이 전체 비급여 진료비의 41.6%를 차지했습니다.
눈에 띄는 부분은 치료재료와 종양치료제의 증가세입니다.
손상된 인대, 근육 등을 보충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조직 재건용 재료와 인체조직 유래 2차 가공뼈 등 치료재료의 비급여 지출이 빠르게 늘었습니다.
요양병원과 한방병원을 중심으로는 싸이모신알파1 등 면역증강제의 사용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정부는 올해 4월부터 비급여 항목별 가격과 질환, 수술별 총진료비 등의 정보를 '비급여 정보 포털'에 공개하고 있습니다.
환자가 의료기관 선택 때 참고할 수 있도록 투명성을 강화한 조치입니다.
복지부는 의료적 필요도를 넘어선 과잉 비급여 진료에 대해 관리를 강화한단 방침입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손윤지)
구체적으로 과잉 우려가 큰 비급여는 급여로 전환하고, 비급여 진료 전 환자 서면 동의 의무화 등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KTV 정유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